美섀너핸 “4일 쏜 北발사체는 미사일” 국방부 “공식 분석 결과 언급 아니다”

美섀너핸 “4일 쏜 北발사체는 미사일” 국방부 “공식 분석 결과 언급 아니다”

한준규 기자
입력 2019-05-09 18:10
업데이트 2019-05-10 03: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발사 직후 합참의장이 전화로 보고한 것”

이미지 확대
패트릭 섀너핸 美국방부 장관 대행. AFP 연합뉴스
패트릭 섀너핸 美국방부 장관 대행.
AFP 연합뉴스
패트릭 섀너핸 미국 국방장관 대행이 지난 4일 북한이 동해상으로 쏜 단거리 발사체들에 대해 ‘로켓과 미사일’이라고 표현했다. 한미 정부가 공식적으로 북한 발사체에 ‘미사일’ 등의 표현을 사용하지 않은 상황에서 이례적이나, 이는 실제 발사체에 대한 분석 결과라기보다 발사 당시 추정에 근거한 표현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섀너핸 대행은 8일(현지시간) 상원 세출위원회 국방 소위원회의 내년도 예산안 관련 청문회에 출석해 “지난 금요일 오후 이란 관련 첩보의 출처와 의미, 대응을 검토하는 일을 했고 이후 달리기를 하던 도중에 조지프 던퍼드 합참의장에게서 전화가 왔다”면서 “합참의장이 전화로 ‘북한이 지금 로켓과 미사일을 발사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섀너핸 대행의 이 발언은 상원 군사위원회 민주당 간사인 잭 리드 의원이 미국이 항공모함 전단을 중동에 급파한 것에 대한 의회 보고가 지체됐다고 지적한 것에 답변하는 도중 잠시 언급된 것이다. 북한이 발사체를 발사한 4일 오전 9시 6분~10시 55분은 미국 동부시간으로 금요일인 3일 저녁 8시 6분~9시 55분이다. ‘북한이 지금 발사하고 있다’는 표현과 시점을 고려할 때 미군 당국은 북한의 도발 직후 최초 상황보고에서 발사체를 로켓과 미사일로 추정한 것으로 보인다.

노재천 국방부 부대변인은 9일 이와 관련해 “섀너핸 대행이 발언한 그 시점은 지난 4일 북한이 발사체를 발사한 당시 합참의장으로부터 보고를 그렇게 받았다는 것이며 현재 분석 결과를 공식적으로 언급한 내용은 아니다”고 말했다. 노 부대변인은 “상황이 발생하면 기본적으로 신속한 상황 보고가 군의 원칙”이라며 “현재도 한미 정보 당국에서는 (신형 전술유도무기 등과) 관련한 사항을 공동으로 정밀 분석 중에 있다”고 덧붙였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서울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2019-05-10 3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