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국가서열 1~4위와 릴레이 회동…‘국부’ 호찌민 묘소 헌화·처소 산책

文, 국가서열 1~4위와 릴레이 회동…‘국부’ 호찌민 묘소 헌화·처소 산책

입력 2018-03-23 22:52
업데이트 2018-03-24 02: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베트남 국빈 방문 이모저모

쩐다이꽝 주석, 文대통령과 4개 일정 소화
文 “한반도 평화 땐 더 많은 기회 생길 것”
베트남을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23일 하노이 공산당사에서 응우옌푸쫑 공산당 서기장과 만나 대화하고 있다. 쫑 서기장은 베트남 국가서열 1위로 국정 전반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인물이다.  하노이 연합뉴스
베트남을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23일 하노이 공산당사에서 응우옌푸쫑 공산당 서기장과 만나 대화하고 있다. 쫑 서기장은 베트남 국가서열 1위로 국정 전반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인물이다.
하노이 연합뉴스
수교 25주년을 맞아 베트남을 국빈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은 23일 베트남 국가서열 1~4위에 해당하는 최고위 인사들을 모두 만나 우호와 협력을 다짐했다. 집단지도체제를 택하는 베트남 최고의사결정기구는 당 정치국으로 공산당 서기장(응우옌푸쫑), 국가주석(쩐다이꽝), 총리(응우옌쑤언푹), 국회의장(응우옌티킴응언)을 포함한 18인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쩐다이꽝 국가주석(국가서열 2위)은 정상회담과 ‘베트남의 국부’로 추앙받는 호찌민 전 주석 처소 방문, 한·베트남 비즈니스포럼, 국빈 만찬까지 문 대통령과 4개의 일정을 소화하며 두 나라가 핵심 파트너임을 안팎에 드러냈다.

문 대통령은 쩐다이꽝 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베트남은 한국에 특별한 나라이고 신남방정책의 핵심 파트너”라고 강조했다. 이어 “어제 23세 이하 축구대표 선수들을 만났는데 양국이 힘을 모으면 불가능은 없다는 ‘한·베트남 매직’을 실감할 수 있었다”면서 “계속 ‘한·베트남 매직’을 이어 갈 수 있기를 기원한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이어 응우옌푸쫑 서기장(서열 1위), 베트남의 첫 여성 국회의장인 응우옌티킴응언, 행정부의 수장인 응우옌쑤언푹 총리를 차례로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양국 정부는 6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 MOU는 양국의 실질 협력과 상생 번영 기반을 강화해 우리의 경제 영토를 동남아와 인도까지 확대하기 위한 신남방정책의 디딤돌이 될 전망이다. 2020년까지 교역 1000억 달러 달성을 위한 공동 연구와 무역규제 관련 행정 지원, 한·베트남 FTA 이행의 내용이 담겼다. 이 밖에 ▲소재부품 산업협력 ▲교통 및 인프라 협력 ▲건설 및 도시개발 협력 ▲4차 산업혁명 대응협력 ▲한·베트남 고용허가제 MOU를 체결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호찌민 전 주석의 묘소를 찾아 헌화하고 1분간 묵념했다. 문 대통령은 정상회담 뒤 쩐다이꽝 주석과 함께 호찌민 처소까지 산책하며 “30년간 독립을 위해 투쟁했고, 검소한 생활로 국민들과 함께 살고 국부로 추앙받는 점, 베트남뿐 아니라 전 인류를 통틀어서도 위대한 분”이라고 말했다.

쩐다이꽝 주석도 “호찌민 주석은 도덕을 특히 강조했다”고 소개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정치인들이 호찌민 주석을 본받는다면 부패가 없어질 것”이라고 화답했다.

문 대통령은 한·베트남 비즈니스포럼에서는 “한반도에 평화가 정착되면 경제인 여러분에게 더 많은 사업과 투자 기회가 생길 것”이라고 밝혔다. 포럼은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가 베트남상공회의소(회장 부띠엔록)와 공동 개최했으며 양국 기업인 650여명이 참석했다.

하노이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서울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8-03-24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