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사드, 안전기준 따라 배치”… 인적 드문 고산지대 검토

軍 “사드, 안전기준 따라 배치”… 인적 드문 고산지대 검토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16-02-15 22:54
업데이트 2016-02-16 0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레이더 발사대 부채꼴로 배치… 부지 결정한 뒤 주민 설득할 듯

“美, 일관된 기준 없다” 주장도…후보지로 거론된 지자체 반발

군 당국이 미국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배치 지역을 먼저 결정한 뒤 해당 지역 주민들을 설득할 계획이다. 군은 사드를 산과 같이 인적이 드문 지역에 설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나 한·미 간 공식 논의를 개시하기도 전에 부지 선정 문제가 ‘뜨거운 감자’로 부각되고 있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14일 “사드 레이더 전자파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며 안전기준에 따라 배치하면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본다”면서 “배치 지역이 결정된 다음 필요한 조치들을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사드 배치 후보지로 거론되는 평택, 대구, 칠곡(왜관), 군산 등 지자체와 주민들의 반발 기류는 확산될 조짐이다. 사드의 유효사거리가 200~250㎞, 요격 고도는 40~150㎞라는 점을 감안하면 수도권과 평택 미군 기지를 보호할 중부권이 최적지라는 관측도 나온다. 공재광 평택 시장은 지난 13일 자신의 페이스북 등에 “평택 미군기지 인근 반경 3.6㎞에 2982명이 거주하고 있다”며 반대했다.

국방부에 따르면 주한미군에 배치될 사드 레이더는 북한의 미사일을 탐지하기 위해 북쪽 상공을 바라보며 지표면과 수십도 각도로 빔을 발사하게 된다. 6대의 미사일 발사대는 각각 레이더에서 400~500m 떨어진 거리에 띄엄띄엄 부채꼴로 배치되고 레이더 전방 반경 100m까지는 인원 통제구역으로 설정된다. 미군이 괌에서 실시한 평가 결과 지표면과 레이더 빔 각이 5도일 때 전자파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범위는 100m라는 분석 때문이다. 3.6㎞ 떨어진 지점의 경우 고도 315m 이하에 있으면 전자파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2012년 발간된 미 육군 교범은 사드 레이더 반경 3.6㎞에 비인가자의 출입을 통제하도록 하는 등 미국 내에서도 일관된 기준이 없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군 관계자는 “주한미군의 사드 레이더도 한국의 산악 지형 특성을 고려할 때 우리 군의 다른 레이더처럼 고지대에 설치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인적이 드문 곳에 배치하면 레이더 전자파에 대한 우려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6-02-16 3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