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담화, 과거사 사죄 표현 구체적으로 담아야”

“아베 담화, 과거사 사죄 표현 구체적으로 담아야”

김미경 기자
김미경 기자
입력 2015-08-09 23:34
업데이트 2015-08-10 03: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마이클 아머코스트 前 주일 미대사 본지 단독 인터뷰

“전후 70년을 맞아 발표할 ‘아베 담화’는 과거 전쟁에 대한 반성만 언급한 호주 캔버라·미국 워싱턴 연설보다 더 정곡을 찌르는 것이어야 한다.”

마이클 아머코스트 前 주일 미대사
마이클 아머코스트 前 주일 미대사
오는 14일쯤 발표될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종전 70년 담화와 관련해 마이클 아머코스트(77) 미국 스탠퍼드대 아태연구소 석학연구위원은 8일(현지시간) 서울신문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담화에 “사죄”를 담을 것을 촉구한 것이다. 그는 1989년부터 4년 동안 주일본 미국대사를 지내는 등 대표적인 아시아 전문가다.

아머코스트 위원은 “아베 총리가 한국과 중국의 우려를 상당히 직설적으로 다루기를 바라지만 사과와 같은 구체적인 단어는 사용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아베 총리가 서울 및 베이징과의 긴장 완화를 원하고 아시아 리더가 되고 싶어 하지만 사과와 같은 단어 선택은 자국 정치적 관계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일본 연립여당인 공명당은 사죄 표현을 담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아머코스트 위원은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70년 담화와 관련해 “청중들이 지난해 7월의 캔버라 연설이나 지난 5월 워싱턴 연설보다 훨씬 더 엄격하고 정곡을 찌르는지 뉘앙스에 집중해 들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두 연설에서 전쟁에 대한 반성만 언급했다.

아머코스트 위원은 한국과 일본 정부에도 국민 정서에 편향하는 민족주의적 태도를 떨쳐 버릴 것을 조언했다. “일본과 한국 정부는 현재 보여 주는 국수주의적 레토릭(미사여구)의 수위를 한 단계 낮추기를 바란다”며 “과거보다 미래에 더 집중할 것”을 주문했다.

한·일 관계에서 미국의 역할과 관련해 그는 “미국이 한국과 일본이라는 소중한 두 동맹국 사이에서 중재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미국은 한·일이 차이점들을 극복하도록 양측을 격려해 왔으며 앞으로도 그런 활동을 계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머코스트 위원은 “한·미·일 3국 협력은 북한 문제와 같은 안보, 경제 등의 모든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면서도 “중국을 반대하는 표현이 분명하게 드러나거나 반(反)중국 프레임이 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중국과 협력할 일이 많다는 의미로 보인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5-08-10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