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방산교역 36억弗… 무기 수출 날개

작년 방산교역 36억弗… 무기 수출 날개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15-02-13 23:54
업데이트 2015-02-14 02: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상최대… 절충교역 가치도 42억불

지난해 방위산업 수출액이 사상 최대치인 36억 1200만 달러(약 3조 9500억원)를 기록했지만 해외 무기 도입 사업 입찰을 통해 얻은 절충교역의 가치도 42억 달러(약 4조 6100억)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충교역은 해외 업체로부터 장비를 구입할 때 반대급부로 국산 부품을 수출하거나 관련 기술을 이전받는 교역 형태다. 정부는 국산 무기의 완제품 수출 못지않게 절충교역도 중요해진 만큼 앞으로 관련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늘릴 방침이다.

이미지 확대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보잉사에 독점 공급하는 아파치(AH64) 공격헬기 동체가 13일 경남 사천의 KAI 공장 작업라인에 서 있다. 사천 연합뉴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보잉사에 독점 공급하는 아파치(AH64) 공격헬기 동체가 13일 경남 사천의 KAI 공장 작업라인에 서 있다.
사천 연합뉴스
국방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4회 국방산업발전협의회를 열고 민·군 기술협력 사업 성과 제고 방안을 논의했다. 국방부와 산업부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139개 방산기업의 수출액은 36억 1200만 달러로 나타났다. 여기에는 말레이시아에 수출한 초계함 6척(12억 달러), 필리핀에 판매한 FA50 경공격기 12대(4억 달러) 등이 포함된다.

방위사업청은 지난해 차기전투기(FX) 도입 사업을 비롯한 20건의 무기 도입 사업 기술 이전, 부품 수출 등 절충교역 획득 실적이 약 42억 달러에 달한다고 추산했다. 실제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2004년부터 보잉사가 전 세계에 판매하는 아파치(AH64) 공격헬기 동체를 독점 공급하고 있다. 이는 군 당국이 보잉으로부터 F15K 전투기를 구매할 때 절충교역으로 헬기 동체 생산을 확보했기 때문이다. 특히 절충교역에 따른 중소기업 부품 수출도 2013년 9000만 달러에서 지난해 2억 4000만 달러로 급증했다. 군 관계자는 “해외 군수업체들과 절충교역 협상을 할 때 국내 중소기업의 물품을 많이 구입하고 수출을 도와주는 업체에 대한 가중치를 늘려 주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5-02-14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