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수도관 비스페놀A 감시 검토한다

환경부, 수도관 비스페놀A 감시 검토한다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20-10-07 14:54
업데이트 2020-10-07 14: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환경호르몬 비스페놀A는 각종 플라스틱 용기나 산업폐수 처리과정에서 걸러지지 않으면서 우리 몸 속으로 축적되는 경우가 많다.
환경호르몬 비스페놀A는 각종 플라스틱 용기나 산업폐수 처리과정에서 걸러지지 않으면서 우리 몸 속으로 축적되는 경우가 많다.
환경부가 수도관 도장 작업에 사용되는 ‘비스페놀A’에 대해 감사원의 지적에도 별도 관리하지 않은 것<서울신문 10월 7일자 11면>이 뒤늦게 알려지자 감시 항목으로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7일 국회에서 열린 환경노동위원회의 환경부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임종성 의원의 질의에 “한국물기술인증원이라는 준국가기관을 통해서 이 부분(비스페놀A를 감시 항목으로 포함하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환경부가 감사원의 지적에도 환경호르몬으로 유명한 비스페놀A를 감시 항목에 포함하지 않은 데는 수도관 자재를 생산하는 업체들을 회원사로 둔 한국상하수도협회의 느슨한 연구 결과를 근거로 했기 때문이었다. 객관성과 공공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이 나오는 데다 심지어 환경부는 상하수도협회와 수의계약을 맺어 연구를 맡기기까지 했다.

이에 대해 조 장관은 “부적절했다고 본다”며 “상하수도협회는 그동안 저희와 일을 해왔고 기술적인 어떤 부분을 속이거나 이런 것에 대해 의심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러자 임 의원은 “수도관은 한 번 매립하면 노후 될 때까지 30년은 쓴다”며 “국민이 먹는 물의 안전성을 보장해야 할 환경부가 비스페놀A를 모니터링하고 그 기준을 세밀하고 꼼꼼하게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