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례연합정당 가는 민주당… “4년 전 ‘국민의당’ 변수 없다” 판단

비례연합정당 가는 민주당… “4년 전 ‘국민의당’ 변수 없다” 판단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민도 기자
입력 2020-03-12 23:38
업데이트 2020-03-13 04: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판적 지지 중도층 이탈 우려에도 강행…20대 수도권 29곳서 5000표 미만 승부

21대 국민의당은 통합당과 연대 보수색
‘당시 지지의 상당 부분 돌아온다’ 분석

‘조국·코로나’ 등 중도층 실망감 계속 누적
표심 성향 당시와 비슷 판단은 무리 지적
이미지 확대
권리당원 투표
권리당원 투표 더불어민주당의 한 권리당원이 12일 비례연합정당 참여에 대한 찬반을 묻는 모바일 투표를 하고 있다. 이날 오전 6시 시작한 모바일 투표는 13일 오전 6시 종료된다.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더불어민주당은 12일 오전 6시부터 24시간에 걸쳐 권리당원 78만여명을 대상으로 ‘비례연합정당’ 참여 여부를 묻는 전 당원 투표를 실시했다. 민주당에 비판적 지지를 해 온 중도층이 이탈할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에도 연합정당 참여를 위한 절차를 착착 진행하고 있는 것이다.

민주당 내부에서는 연합정당 참여가 중도층 표심을 전적으로 흔들어 수도권 격전지의 승부를 모두 뒤집을 것이라고는 보지 않고 있다. 그 같은 자신감의 근거 중 하나는 이번 4·15 총선에는 4년 전 국민의당의 ‘녹색 돌풍’ 같은 변수가 없다는 점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2016년 20대 총선에서 5000표 미만 표차로 승부가 갈린 수도권 지역은 29곳이다. 이 격전지들은 공히 국민의당 후보가 상당수 표를 가져가면서 아슬아슬하게 1·2위가 갈린 곳이다.

서울 동작갑에서 민주당 김병기 후보는 새누리당(현 미래통합당) 이상휘 후보를 상대로 2001표차(1.82% 포인트)로 신승했다. 김 후보의 득표율은 36.53%, 이 후보는 34.71%였다. 국민의당 장환진 후보는 24.74%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경기 남양주갑에서는 40.07%를 얻은 민주당 조응천 후보가 새누리당 심장수 후보(39.77%)를 249표차(0.3% 포인트)로 이겼다. 당시 3위였던 국민의당 유영훈 후보는 16.53%의 득표율을 보였다.
이미지 확대
이번 총선에서 안철수 대표가 이끄는 국민의당은 지역구 후보를 내지 않는 식으로 사실상 통합당과 연대하면서 보수의 성격이 강한 것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20대 총선 당시만 해도 국민의당은 민주당을 탈당한 이들이 주축이 된 당으로 지지층이 민주당과 상당 부분 겹쳤다. 당시 민주당과 국민의당 후보 간 단일화 가능성이 거론되기도 했다. 곧 국민의당 후보가 없는 이번 총선에서는 당시 국민의당 지지의 상당 부분이 민주당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낮지 않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그럼에도 중도층의 성향을 당시와 비슷하게 판단하는 건 무리라는 지적도 나온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태부터 코로나19 확산, 비례연합정당 참여 등으로 민주당에 대한 중도층의 실망감이 계속 누적돼 왔기 때문이다. 아울러 연합정당에 반발하는 정의당이 수도권 지역구 후보를 대거 출마시킬 경우 선거 구도가 민주당에 더 불리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남아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비례연합정당을 만든 민주당에 실망한 중도층이 똑같이 비례정당을 만든 통합당으로 돌아서지는 않겠지만 투표 자체를 하지 않을 수는 있다”며 “투표율이 낮으면 민주당에는 큰 손해”라고 밝혔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기민도 기자 key5088@seoul.co.kr
2020-03-13 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