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하며 악수하고 있다. 워싱턴DC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 오후 경주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관세 협상과 안보 현안을 논의한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두 정상은 경주 국립박물관에서 만날 예정으로, 지난 8월 미국 회담 이후 불과 석 달 만의 재회다. 역대 한미 정상 간 최단기간 내 상호방문으로, 이번 회담에서는 난항을 겪고 있는 관세 협상이 핵심 의제로 다뤄진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우리가 진전시키고자 하는 주요 의제는 관세와 안보 문제”라며 “한미·미중·한중의 연쇄적 정상회담을 통해 한국의 플랫폼 역할을 부각하고 역내 평화와 안정을 위한 공감대를 형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국은 3500억 달러(약 501조 3050억원) 규모의 대미 투자 펀드 집행 방식과 투자 분야를 놓고 여전히 의견차를 좁히지 못한 상태다. 미국은 전액 선불 현금 요구에서 일부 양보했지만, 한국 정부가 감내하기 힘든 수준의 조건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4일(현지시간) “그들(한국)이 준비된다면 나는 준비됐다”며 압박을 이어갔다. 이에 대해 이 대통령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투자 방식과 금액, 일정, 손실 부담 등이 모두 쟁점으로 남아 있다”며 “한국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정도로 합의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국립경주박물관이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기념해 특별전 ‘신라 금관, 권력과 위신’을 여는 가운데 27일 박물관 관계자가 국보인 황남대총 북분 금관을 휴대전화 카메라에 담고 있다. 서울신문DB
오현주 국가안보실 3차장도 외신기자클럽 간담회에서 “이번에 바로 타결되기는 어렵다”며 “상업성과 한국 경제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협상이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당초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관세 협상을 타결하는 것이 목표였지만, 미국이 현 입장을 고수한다면 이번에는 쉽지 않다”며 “한국의 경제 여건과 상황을 충분히 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재무부 스콧 베선트 장관 역시 “전체적 틀은 합의된 상태지만 세부 조율이 남아 있다”며 정상회담에서 최종 타결되기 어렵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한편 양국은 원자력 협력 개정, 방위비 분담 등 안보 분야에서는 큰 이견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미국 측이 관세와 안보를 한꺼번에 묶는 ‘패키지 딜’을 선호하는 만큼, 관세 협상이 결렬될 경우 안보 협상 발표도 미뤄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