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발생 피해액은 황새, 환급액은 뱁새…징벌적 손해배상 적용해야”

“범죄발생 피해액은 황새, 환급액은 뱁새…징벌적 손해배상 적용해야”

이명선 기자
입력 2020-10-08 09:15
업데이트 2020-10-08 10: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양기대 의원, 보이스피싱 10년간 누적피해 2조4500억원… “환급은 고작 20%뿐”

이미지 확대
양기대 의원
양기대 의원
지난 10년간 보이스피싱 범죄로 인한 누적 피해규모가 2조 5000억원에 달했으나 환급률은 20%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범죄발생 건수도 지난 10년간 연평균 40% 이상 폭증세를 보이면서 누적 범죄건수가 20만건을 넘어섰다.

8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기대(경기 광명을) 의원이 경찰청과 금융위원회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지난 10년간 보이스피싱 범죄발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9년까지 보이스피싱 누적 피해액이 2조 2934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총 환급액은 5678억원에 불과해 돌려받지 못한 실제 피해금액이 1조 7256억원이었다. 지난 9년간 평균 환급률은 고작 21.8%에 그쳤다. 누적 피해규모는 올 상반기까지 합치면 2조 4511억원에 달했다.

같은 기간 범죄발생 건수도 폭증 양상을 나타냈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발생한 누적 범죄건수는 19만 4894건으로 연평균 41.2%나 급증했다. 올 7월까지 발생한 범죄를 포함하면 21만 3620건으로 20만건을 넘어섰다. 2010년 5455건이 발생했으며 2019년에는 3만 7667건이 발생해 무려 7배에 달할 정도로 보이스피싱 범죄는 기승을 부렸다.

양 의원은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금액과 발생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반면 환급은 게걸음 수준일 정도로 미미하다”며 “앞으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또 “보이스피싱 범죄는 개인뿐 아니라 가족까지도 파괴할 정도로 악질적인 범죄”라며 “범인을 끝까지 추적해 반드시 검거하고, 피해금액의 수 배에 달하는 징벌적 손해배상제를 적용하는 등 강력한 척결 대책을 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명선 기자 mslee@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