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총리 “추미애, 아들 의혹 얘기한 적 있어…수사 느려 답답”

정 총리 “추미애, 아들 의혹 얘기한 적 있어…수사 느려 답답”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0-09-10 22:57
업데이트 2020-09-10 22: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세균 국무총리, 추미애 법무부 장관.  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 추미애 법무부 장관.
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가 추미애 법무부 장관 아들을 둘러싼 의혹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는 것과 관련해 “국민에 심려를 끼치고 있는 점에 대해 참 민망하다”고 밝혔다.

“국민 심려 끼쳐 민망…수사 빨리 매듭짓는 게 중요”
정 총리는 이날 JTBC ‘뉴스룸’에 출연, ‘추미애 장관 아들 특혜 논란에 대한 해명이 충분하다고 보느냐’라는 앵커 질문에 “국무위원 자녀 문제로 국민에 심려를 끼치고 있는 점에 대해 참 민망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면서 “제 생각이 중요한 게 아니라 국민 생각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이어 “이 문제가 조속히 정리돼서 코로나19나 경제 때문에 힘든 국민들이 이런 문제로 걱정을 더 하지 않게 하는 것이 마땅한 도리”라고 강조했다.

야당이 특별수사본부 설치를 주장하는 것에 대해선 “특별수사본부를 설치하려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며 “현재 (수사를) 하고 있는 검찰이 빨리 수사를 매듭짓는 것이 옳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실 이 문제에 대해 (검찰이) 수사에 착수한 지 상당한 시간이 흘렀는데 왜 아직까지 매듭짓지 못하고 있는지 저도 답답한 심정”이라고 말했다.

“상황 정리할 정치적 방법 있지만”…‘사퇴’엔 선 그어

추미애 장관과 이번 의혹에 대해 얘기한 적이 있는지 묻자 정 총리는 “전혀 안 한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검찰이 수사하고 있어 언론에 말하는 것은 온당치 않다”고 자세한 답변을 피했다.

정 총리는 “검찰이 이 문제를 수사하지 않고 있다면 다른 방법으로 상황을 정리할 수도 있겠지만 검찰이 신속하게 수사를 종결해서 종료하는 것이 현실적 방법”이라고 말했다.

‘상황을 정리할 다른 방법’에 대해선 “정치적 방법이 있을 수 있다”고 부연 설명했다.

이에 앵커가 ‘정치적 방법이 추미애 장관의 거취 결정(사퇴)을 뜻하느냐’고 묻자 “그런 것까지 말한 건 아니다. 곧이곧대로 받아들여 달라”고 말했다.

“개천절 집회, 어떻게든 막겠다”
한편 보수단체가 예고한 개천절 집회에 대해 정 총리는 “법이 허용하는 한 어떻게든지 막겠다”면서 “소위 말하는 원천봉쇄도 불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난 광복절 집회 때 법원이 집회를 허용한 것이 빌미가 돼 코로나19가 전국으로 확산했다”며 “법원에 사람이나 공문을 보내 협조를 요청할 작정”이라고 강조했다.

“늦어도 12일까지 거리두기 완화 여부 발표”

정 총리는 오는 13일 종료되는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를 2단계로 완화할 지 여부를 이르면 11일, 늦어도 12일 발표하겠다면서 “아직도 (확진자수가) 두 자릿수가 되지 않아 고민이 많다”고 말했다.

그는 “아직 확실하게 2단계로 간다고 말하긴 어렵지만, 국민들이 2주 이상 2.5단계를 겪으면서 어려움이 굉장히 많기 때문에 정부는 방역에 큰 위험이 없다면 조금 고려해보자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일일 확진자 수가 100명 이하가 되지 않아도 2단계로 하향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선 “그렇다”며 “단순히 숫자만 보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를 종합적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