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여곡절 끝에… 정의당 ‘단일혁신안’ 발표

우여곡절 끝에… 정의당 ‘단일혁신안’ 발표

기민도 기자
입력 2020-08-13 20:18
업데이트 2020-08-14 04: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혁신위, 대표 권한 축소·청년정의당 신설
당 대표단회의 부대표 3명→6명으로
“심 대표 책임 면피용” 간담회 현장 잡음

정의당 혁신위원회가 대표 권한을 축소하고 청년정의당을 신설하는 등의 내용의 ‘단일혁신안’을 우여곡절 끝에 내놨다. 혁신위는 기후위기 극복과 탈자본주의 등의 내용을 담은 강령 개정을 새 지도부에 권고하면서 진보야당다운 정의당의 정치를 보이겠다는 의지도 드러냈다.

정의당 혁신위원회는 13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혁신안을 발표했다. 장혜영 혁신위원장은 “오늘 혁신안은 밥그릇, 국그릇처럼 기본에 충실한 혁신안”이라며 “다양한 의견이 나오는 정당에서 의견을 하나로 모으는 일이 쉬운 일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혁신위는 당의 일상적 최고 의결기구로 대표단회의를 신설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대표단회의는 당대표와 원내대표, 선출직 부대표 5명, ‘당 안의 당’으로 신설되는 청년정의당의 대표 등 총 8명으로 구성된다. 부대표 수를 기존 3명에서 사실상 6명으로 늘려 당내의 의견이 폭넓게 수렴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현행 임명직이 다수인 상무집행위원회가 폐지되고 대표단회의가 신설되면서 부대표의 목소리가 당의 의결에 반영되는 체제가 구축됐다. 반면 당대표는 더이상 전국위원과 대의원을 추천할 수 없게 되는 등 권한이 축소됐다. 혁신위는 더불어민주당과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정의로운 복지국가’로 대표되는 강령도 개정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앞서 거론됐던 ‘당비 1000원 지지당원제’는 최종 혁신안에 담기지 않았다.

간담회 현장에서는 잡음도 나왔다. 성현 혁신위원은 주위의 만류에도 “혁신위는 심상정 대표의 (총선 실패) 책임 면피용으로 만들어진 기획이며, 그 기획조차도 실패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장 위원장은 “혁신위 안에서 총의를 모으기가 얼마나 힘든 과정이었는지 방증하는 해프닝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혁신안은 15일 당 전국위원회에 보고된 뒤 30일 대의원대회에서 처리된다. 이어 9월 중 당 지도부를 선출하는 선거를 실행할 계획이다. 당대표 후보로는 배진교 현 원내대표와 ‘90년대 학번, 진보정당 2세대 정치인’ 대전시당 김윤기 위원장, 김종철 선임대변인 등이 거론된다.

기민도 기자 key5088@seoul.co.kr
2020-08-14 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