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중권 “임종석 통일부 장관? 청문회 무서워 못 나올 것”

진중권 “임종석 통일부 장관? 청문회 무서워 못 나올 것”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0-06-25 13:55
업데이트 2020-06-25 13: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진중권 전 교수/임종석 전 청와대비서실장
진중권 전 교수/임종석 전 청와대비서실장
“임종석 통일부 장관 나쁘진 않지만…
청문회 무서워 못 나올 것”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는 임종석 전 청와대비서실장이 통일부 장관감은 되지만 인사청문회에서 된서리를 맞을 것이라고 말했다.

진 전 교수는 2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개인적으로 임종석씨가 통일부장관 하는 거 나쁘지 않다고 본다”면서도 “다만 이분은 종로에 출마하려다 결국 못 나왔다. 선출직 선거에도 못 나오는 판에 임명직으로 나오기는 아마 힘들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 이유로 “인사청문회에서 뭐가 튀어나올지 모르고 선거 개입 건 말고도 해명해야 할 게 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진 전 교수는 “울산시장 선거 개입 수사, 수족들은 모두 기소됐고 그 머리 격인 이분만 남겨놓은 상태다”며 “그 동안 추미애가 검찰총장 손발을 다 잘라놓아서 그런지, 선거 끝난 지 한 달도 넘도록 이분을 어떻게 처리하겠다는 것인지 후속 보도가 없어 궁금하다”고 진전이 없는 임 전 실장 수사가 흐지부지되는 듯하다고 비판했다.

이어진 글에서 진 전 교수는 “집권 직후 의기양양하게 ‘공직 임명 5대 기준’을 만들었던 (문재인 정권이) 그 기준에 맞는 사람이 진영에 하나도 없자 이리저리 완화해 새기준(7대 기준)을 만들었지만 기준을 아무리 느슨하게 해도 사람을 찾을 수가 없어 결국 아예 ‘기준’ 자체를 포기했다. 그 첫 사례가 조국, 둘째 사례가 윤미향”이라고 했다.

진 전 교수는 이를 “평등과 공정과 정의를 표방하던 (문재인) 정권이 결국 공직임명에서 도덕적 허무주의에 빠져버린 것”으로 해석한 뒤 “그 도덕적 허무주의를 아예 제도화하려는 시도가 바로 홍영표 의원이 발의한 ‘인사청문회 비공개’ 법안이다”고 지적했다.

인사청문회를 비공개로 할 경우 “그나마 언론에 의한 검증도 못 하게 된다. 이왕 도덕적 허무주의의 길로 들어섰으니, 그냥 인사청문회 폐지법을 내라. 주제 파악은 했으면 한다. 그냥 ‘예, 우리도 실은 잡놈’이라고 정직하게 고백을 하고 얼굴에 철판을 까는 것이 그나마 조금 덜 역겨울 것”이라고 비꼬았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