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기후 비상이다”…폭탄 들고 국회 앞에 선 ‘시민단체’

“지금은 기후 비상이다”…폭탄 들고 국회 앞에 선 ‘시민단체’

신형철 기자
입력 2020-06-11 17:40
업데이트 2020-06-11 17: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환경, 노동, 농민, 여성, 종교 등 190여개 사회단체가 11일 국회 앞에 모였다. 기후위기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고 입법을 해달라는 촉구였다.
기후위기비상행동 관계자들이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기후위기 시한폭탄, 21대 국회에서 멈춰라’ 기자회견을 갖고 기후위기비상선언 결의안 채택과 기후재난 대응 정책 우선 추진을 촉구하는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기후위기비상행동 관계자들이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기후위기 시한폭탄, 21대 국회에서 멈춰라’ 기자회견을 갖고 기후위기비상선언 결의안 채택과 기후재난 대응 정책 우선 추진을 촉구하는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뉴스1
이날 사회단체의 연대기구인 기후위기비상행동은 기자회견과 퍼포먼스를 열었다. 비상행동은 21대 국회가 올해 안에 기후위기비상선언 결의안을 채택하고, 기후재난에 대한 대응을 정치의 우선과제로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비상행동은 이 날 기자회견을 통해 4대 정책요구안 중 첫번째 과제로 ‘기후위기비상선언 국회 결의안’을 통과시킬 것을 요구했다. 비상행동은 현재의 기후위기는 비상상황이며 코로나보다 더 큰 전 지구적인 재난을 막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한 삶을 지키기 위해서 과감하고 시급한 기후위기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비상행동은 국회가 ‘한 달’ 이내에 기후위기 비상선언 결의안을 발의하고, ‘올해’ 안에 결의안을 통과시킬 것을 촉구했다. 또한 결의안이 단순한 선언에 그치지 않기 위해서 ‘1.5도 목표 설정, 2050년 이전 배출제로, 정의로운 전환’ 등의 원칙과 함께 ‘신규 석탄발전소 건설 중단, 기업 지원시 온실가스 감축 조건 제시’ 등 올해 안에 실시할 선결과제를 결의안에 포함시킬 것을 제안했다. 국회 앞에서의 기후위기비상선언은 기후위기 대응을 정치의 최우선과제로 삼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 받는다.

‘기후위기비상선언’은 현재 전 세계 30여개 국가의 1,500여 정부, 지방정부, 의회에서 선포한 바 있다. 한국에서는 지난 5일 전국 225개 기초지방정부가 참여하는 비상선언을 선포하고, “정부와 국회가 빠른 시일 안에 기후위기 비상상황임을 선포하고, 국가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할 것을 요구”한 바 있다.

비상행동은 이 서명과 함께 오늘 기자회견에서 제안한 결의안 내용을 국회의장과 각 정당대표들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또한 비상행동은 전국의 지역조직들과 함께 국회의원들을 대상으로 기후위기비상선언 결의안 채택에 참여할 것을 촉구하는 캠페인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정치권의 움직임도 빨라질 전망이다. 특히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은 나란히 그린뉴딜을 강조하며 핵심과제로 추진할 것을 천명한 바 있다.

신형철 기자 hsdori@seoul.co.kr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