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코로나 시대 이후 가장 큰 우려는 교육 불평등”

김종인 “코로나 시대 이후 가장 큰 우려는 교육 불평등”

이보희 기자
입력 2020-06-11 11:52
업데이트 2020-06-11 11: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본소득 설명하는 김종인 통합당 비대위원장
기본소득 설명하는 김종인 통합당 비대위원장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4일 국회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기본소득ㆍ물질적 자유’ 등 현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코로나19 이후 가장 큰 우려는 교육 불평등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11일 비대위 회의에서 “현재의 교육 시스템이 교육 불평등을 고착화하고 있고, 사교육 시장이 커져서 공교육이 무력화되고 있지 않느냐”면서 “사회의 계층 이동 사다리가 사라지고, 빈부격차가 대물림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평등을 주장하는 더불어민주당에선 교육 불평등에 대한 언급이 없다. 통합당은 이를 과감히 지적하고 선제적으로 개선 방안을 내놓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또 “국내 대학 교육과정을 보면 학사 4년, 석사 2년, 박사 4년 하는데, 10년 걸친 그 학문이 과연 쓸모가 있느냐”며 “학문이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기 때문에 대학 교육과정도 새롭게 생각해볼 시대가 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코로나 사태가 지나면 산업구조 혁신에도 박차를 가할 수밖에 없는데, 4차 산업 관련한 인공지능, 머신러닝, 베타 사이언스 등을 충분히 교육할 교수들을 확보하고 있는지 굉장히 의문시된다”며 교수진과 커리큘럼의 문제점도 꼬집었다.

그는 “이런 종합적인 문제를 논의해서 새로운 대학교육의 진로를 개척해야 한다”며 여야가 21대 국회에 가칭 교육혁신특별위원회를 만들어 고등교육 과정을 심의하자고 제안했다.

김 위원장은 “미국 애플의 시가총액이 1조5000억달러라고 한다. 우리나라 GDP(국내총생산) 규모가 애플의 시총과 비슷한 수준”이라며 “대학교육의 근본적 변화가 있지 않고선 이러한 초격차를 해소하는 게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보희 기자 boh2@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