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중재에도 화이트리스트 제외”

“미 중재에도 화이트리스트 제외”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19-08-02 11:31
업데이트 2019-08-02 1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AP, 국내 ‘일 보이콧’ 사례 소개

이미지 확대
일본 정부가 각의(국무회의)에서 전략물자 수출 간소화 대상인 백색국가 명단(화이트 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하는 수출무역관리령 개정안을 결정한 2일 오전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의 브리핑 화면을 보고 있다.-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각의(국무회의)에서 전략물자 수출 간소화 대상인 백색국가 명단(화이트 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하는 수출무역관리령 개정안을 결정한 2일 오전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의 브리핑 화면을 보고 있다.-연합뉴스
해외 외신들은 일본 정부가 2일 ‘화이트리스트’(전략물자 수출심사 우대 대상국 명단)에서 한국을 제외하기로 한 결정을 보도하며 향후 파장에 예의주시했다.

AFP통신은 일본이 이날 오전 각의(국무회의)에서 한국을 수출 우대국인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는 시행령 개정을 의결했다며 “일본의 이번 결정은 한일 양국을 중재하려는 워싱턴의 요청이 있었음에도 진행됐다”고 보도했다. 이어 일제 강제징용 배상 판결 논란에 이어 이번 조치는 한일관계가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고도 했다.

DPA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의 전날 양자 회담이 무의로 끝난지 하루 뒤 이번 결정이 이뤄졌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통신도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강 장관과 고노 외무상을 방콕에서 만나기로 한 가운데 이번 결정이 나온 것에 주목했다. 이 매체는 워싱턴 고위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한일 양국이 협상의 여지를 만들기 위한 ‘불가침 조약’을 맺도록 했다”고 보도했다.

AP통신은 최근 한국의 ‘일본 보이콧 운동’의 모습을 전하기도 했다.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를 시작으로 일본의 경제보복 수위가 높아지며 반일 감정도 격화되고 있지만, AP는 우리 시민들의 움직임이 평화적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AP는 전날 서울 광화문에서 일본의 무역보복 철회를 외치며 분신한 70대의 사례를 소개하면서도 “반일 시위가 이어지고 있지만, 아직 폭력적으로 변한 것은 없다”고 소개했다. 또 최근 135달러(약 16만원)의 위약금을 내고 일본여행을 취소한 20대 여성의 사례를 전하기도 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