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美정상 2차 핵담판 결렬…한반도 정세 ‘시계제로’

北美정상 2차 핵담판 결렬…한반도 정세 ‘시계제로’

신성은 기자
입력 2019-02-28 16:00
업데이트 2019-02-28 16: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金·트럼프 합의문 서명없이 회담장 떠나…백악관 “합의도달 못했다”

이미지 확대
제2차 북미정상회담 이튿날인 28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오른쪽) 북한 국무위원장이 베트남 하노이의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호텔에서 회담 도중 심각한 표정을 하고 있다.  백악관은 예정보다 일찍 종료된 2차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 “현 시점에서 아무런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2019.2.28  EPAㆍAP=연합뉴스
제2차 북미정상회담 이튿날인 28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오른쪽) 북한 국무위원장이 베트남 하노이의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호텔에서 회담 도중 심각한 표정을 하고 있다.
백악관은 예정보다 일찍 종료된 2차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 “현 시점에서 아무런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2019.2.28
EPAㆍ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2차 북미정상회담이 합의 없이 종료됐다.

이로써 작년초부터 시작된 한반도 비핵화를 향한 여정이 기로에 섰다.

김정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28일 오후 정상회담이 열린 베트남 하노이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호텔에서 합의문에 서명하지 않은 채 각각 숙소로 복귀했다.

세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현 시점에서 아무런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샌더스 대변인은 이어 “두 정상은 비핵화와 경제 주도 구상을 진전시킬 다양한 방식에 대해 논의했다”면서 “양측은 미래에 만날 것을 고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회담이 결렬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이에 다른 미국의 상응조치 간에 인식 차가 큰 게 원인으로 보인다.

특히 북한은 영변 핵시설 폐기 등의 비핵화 조치에 대한 상응조치로 제재완화를 요구해 온 것으로 알려졌는데, 미국이 이에 ‘과감한 비핵화조치 없이 제재완화는 없다’는 취지의 원칙적인 입장을 고수하면서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두 정상은 이번 회담에서 지난해 6월 1차 회담에서 합의한 ▲완전한 비핵화 ▲새로운 북미관계 수립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등을 구체화해 합의문에 담기위한 논의를 진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후 2시(현지시간·한국시간 오후 4시)에 기자회견을 할 예정이다.

앞서 두 정상은 전날 오후 단독회담과 만찬을 진행한 데 이어 이날도 오전 8시55분께 부터 단독회담과 확대회담을 진행했다.

오전까지만 해도 두 정상은 긍정적인 발언을 쏟아내 회담 성과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김정은 위원장은 확대회담장에서 ‘비핵화 준비가 됐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그런 의지 없다면 여기 오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답을 들은 트럼프 대통령은 “좋은 답이다”(good answer)라고 평가한 뒤 “와, 저것은 최고의 답일 것 같다”(Wow, that might be the best answer)며 환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