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트럼프 ‘핵합의 무산’ 진짜 이유…“미국 정치적 혼란”도

김정은-트럼프 ‘핵합의 무산’ 진짜 이유…“미국 정치적 혼란”도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19-02-28 19:03
업데이트 2019-02-28 19: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8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핵 담판 결렬 관련 기자회견을 한 뒤 숙소인 JW메리어트 호텔을 떠나고 있다. 2019. 2. 28.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8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핵 담판 결렬 관련 기자회견을 한 뒤 숙소인 JW메리어트 호텔을 떠나고 있다. 2019. 2. 28.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28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의 ‘하노이 핵합의 무산’ 이유로 미국내 정치가 한 요인으로 꼽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베트남 하노이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모든 제재 조치 해제를 요구해 합의해 줄 수 없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회담 무산과 관련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를 지낸 조셉 윤은 이날 CNN에서 “회담 실패에 준비 부족”과 함께 “미국의 혼란스러운 정치상황이 이번 회담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미국은 북한의 요구에 대해 어느 정도 예상했던 것이 곳곳에서 감지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가 원하면 100% 서명할 수 있었다. 합의문도 준비했다. 그러나 서두르기보다는 올바른 결정을 내린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협상의 달인’인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판단에 따라 합의에 이르지 않았음을 시사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제2차 북미정상회담 이틀째인 28일 오후 베트남 하노이의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하노이 호텔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을 마치고 숙소로 돌아가고 있다. 2019.2.28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제2차 북미정상회담 이틀째인 28일 오후 베트남 하노이의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하노이 호텔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을 마치고 숙소로 돌아가고 있다. 2019.2.28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27일 베트남 국가주석과 회담하면서 보잉-737기 100대를 파는 등 23조원에 달하는 막대한 국익을 챙겼다. 그러나 미국 언론의 가장 큰 관심사는 트럼프 대통령의 옛 개인 변호사인 마이클 코언의 의회 청문회였다. 코언은 청문회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성관계를 가졌다고 주장한 여성 2명에게 입막음용 돈을 줬고, 그 돈은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에게서 나왔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이같은 증언이 나오자 28일 하노이에서 열린 기자회견장에서도 코언의 발언에 대한 질문이 나왔다.

수세에 몰린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어찌 보면 북핵보다 자신의 정치적 생명이 더 중요한 문제가 된 것이다. 특히 민주당은 “엉성한 합의는 북한과 중국에 항복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트럼프 대통령을 압박했다. 북한과의 합의 결과 민주당이나 미국민에게 수긍이 되지 않을 경우 ‘정치적 노림수’로 평가절하될 수 있는 상황이란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과의 스몰딜을 맺어봐야 미국 조야에서 비판을 받을 것이고, 의회 문턱을 넘기가 쉽지 않은 것이다.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 개인 변호사인 마이클 코언.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 개인 변호사인 마이클 코언.
로이터 연합뉴스
김정은 위원장도 미국의 이런 정치적 사정을 알기에 물러서지 않았다는 것이다. 조셉 윤 전 대표는 이날 CNN에서 “만약 당신이 김정은이고, 이 광경(미국의 혼란스러운 정국)을 보고 있다면 ‘우리(미국과 북한)가 대단한 미래와 좋은 관계를 맺을 수 있다’고 말하는 게 (제대로) 들리겠나”라면서 “김 위원장 또한 뒤로 물러서려고 생각하고 있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두 정상이 완전한 결렬을 선언한 것은 아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협상은 악수도 하고 마무리했다”며 우호적인 분위기였음을 강조해 여운을 남겼다. 협상재개 시점을 묻는 말에 “조만간 협상이 열릴 수도 있고, 시간이 지나야 열릴 수도 있지만 조만간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