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하노이 핵합의 무산’에 술렁…文대통령 ‘중재자’ 나서나

청와대 ‘하노이 핵합의 무산’에 술렁…文대통령 ‘중재자’ 나서나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19-02-28 17:02
업데이트 2019-02-28 17: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제2차 북미정상회담 이틀째인 28일 오후 베트남 하노이의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하노이 호텔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을 마치고 숙소로 돌아가고 있다. 2019.2.28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제2차 북미정상회담 이틀째인 28일 오후 베트남 하노이의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하노이 호텔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을 마치고 숙소로 돌아가고 있다. 2019.2.28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28일 오후 2차 북미정상회담이 ‘핵합의 무산’ 소식이 들려오자 청와대도 술렁이며 당혹스러운 분위기가 역력했다. 이날 오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의 단독회담이 시작될 때까지만 해도 결실에 대한 기대가 컸던 터라 갑작스러운 회담 종료를 예상하지 못한 결과라는 반응이 주를 이뤘다.

실제로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핵담판 결렬 직전 오후 2시 10분 정례브리핑 때만 해도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리는 2차 북미정상회담 결과에 기대감을 내비쳤다. 김 대변인은 회담 종료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에어포스원 이륙 전후로 문재인 대통령과 통화할 예정이라며 기대감을 부풀렸다.
이미지 확대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28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춘추관에서 2차북미정상회담과 관련된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19. 2. 28.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28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춘추관에서 2차북미정상회담과 관련된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19. 2. 28.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그러나 이후 상황은 급박하게 돌아갔다. 김 대변인이 남북대화 본격화를 거론한 시각은 오후 2시 27분이었는데 약 26분만인 오후 2시 53분 언론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기자회견이 예정보다 2시간 앞당겨졌으며 양 정상 간 오찬 및 서명식이 불투명하다는 속보가 연달아 나왔다.

현지에서의 상황 변화가 감지되면서 청와대 관계자들도 당황한 모습이었다. 청와대 관계자 일부는 연합뉴스의 전화를 아예 받지 않거나 받더라도 “사태를 파악해보고 있다”며 짧게 답변했다. 한 관계자는 “서명식 취소 여부가 공식 언급된 것이 아니다”라며 일말의 기대감을 나타내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오후 3시 25분쯤 양 정상이 업무 오찬과 서명식 없이 정상회담장을 떠났다는 속보가 나왔고, 오후 3시 38분 백악관이 ‘북미가 아무 합의에도 이르지 못했다’라는 입장을 내놓으면서 핵합의 무산을 공식화됐다.

당초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합의문 서명식을 TV 생중계로 노영민 비서실장 등 주요 참모들과 함께 지켜볼 예정이었지만 자연히 취소됐다. 에어포스원 이륙 전후 예상됐던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도 현재로선 불투명한 상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북미정상회담이 끝난 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북미정상회담이 끝난 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청와대의 다른 관계자는 연합뉴스 통화에서 “도대체 잠깐 분위기가 이렇게 바뀌나”라고 안타까워했다. 실제로 기대감이 컸던 이날 오후 2시27분 이후 26분에 분위기가 확 바뀌었다.

청와대는 회담 결렬 배경과 상황 파악에 매달리면서 추후 대응책 마련에 집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상황에 따라서는 문 대통령이 다시 ‘중재자’로서 나서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현 상황에 대해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