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1년2개월만에 ‘北걸그룹’ 모란봉악단 공연 관람

김정은, 1년2개월만에 ‘北걸그룹’ 모란봉악단 공연 관람

입력 2016-12-29 09:15
업데이트 2016-12-29 1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초급 당 위원장들과 함께 관람…“사상전선의 제1나팔수”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제1차 전당(전국 노동당) 초급 당위원장 대회 참가자들과 모란봉악단·공훈국가합창단의 합동 공연을 관람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9일 보도했다.

이미지 확대
김정은, 1년2개월만에 ’北걸그룹’ 모란봉악단 공연 관람
김정은, 1년2개월만에 ’北걸그룹’ 모란봉악단 공연 관람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제1차 전당(전국 노동당) 초급 당위원장 대회 참가자들과 모란봉악단?공훈국가합창단의 합동 공연을 관람했다고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 등이 29일 보도했다. 중앙통신은 초급 당위원장 대회 참가자들을 위한 모란봉악단과 공훈국가합창단의 합동 공연이 28일 평양에서 성대히 열렸다며 ”김정은 동지께서 관람석에 나오시였다”고 밝혔다. 김정은이 모란봉악단 공연을 공개 관람한 것은 지난해 10월 19일(보도시점) 노동당 창건 70주년을 기념해 열린 청봉악단?공훈국가합창단과의 합동 공연을 본 이후 1년 2개월여 만이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김정은, 1년2개월만에 ’北걸그룹’ 모란봉악단 공연 관람
김정은, 1년2개월만에 ’北걸그룹’ 모란봉악단 공연 관람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제1차 전당(전국 노동당) 초급 당위원장 대회 참가자들과 모란봉악단?공훈국가합창단의 합동 공연을 관람했다고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 등이 29일 보도했다. 중앙통신은 초급 당위원장 대회 참가자들을 위한 모란봉악단과 공훈국가합창단의 합동 공연이 28일 평양에서 성대히 열렸다며 ”김정은 동지께서 관람석에 나오시였다”고 밝혔다. 김정은이 모란봉악단 공연을 공개 관람한 것은 지난해 10월 19일(보도시점) 노동당 창건 70주년을 기념해 열린 청봉악단?공훈국가합창단과의 합동 공연을 본 이후 1년 2개월여 만이다.
연합뉴스
중앙통신은 초급 당위원장 대회 참가자들을 위한 모란봉악단과 공훈국가합창단의 합동 공연이 28일 평양에서 성대히 열렸다며 “김정은 동지께서 관람석에 나오시였다”고 밝혔다.

김정은은 환호하는 대회 참가자들에게 손을 흔들어 답례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통신은 양 공연단 예술인들을 ‘당 사상전선의 제1나팔수’로 칭하며 “우리 식의 경음악과 관현악, 다양한 성악 종목과 합창의 배합으로 새로운 경지의 음악세계를 펼쳐 보인 공연은 대회 참가자들의 절찬을 받았다”고 묘사했다.

김정은은 이들의 공연 성과를 축하하고, 대회 참가자들에게 당의 강화 발전과 당 정책 관철의 ‘제일선(최일선) 초소’에서 사명과 본분을 다 하라는 기대를 밝혔다고 통신은 전했다.

관람에는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과 최룡해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김기남·최태복·리수용·김평해·오수용·곽범기·김영철·리만건 당 중앙위 부위원장이 동행했다.

김정은이 모란봉악단 공연을 공개 관람한 것은 지난해 10월 19일(보도시점) 노동당 창건 70주년을 기념해 열린 청봉악단·공훈국가합창단과의 합동 공연을 본 이후 1년 2개월여 만이다.

김정은의 지시로 2012년 창단된 ‘북한판 걸그룹’인 모란봉악단은 지난 5월 청봉악단과 함께 제7차 노동당대회 축하공연을 한 이후 7개월이 넘도록 모습을 보이지 않아 활동이 부진한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았다.

일각에서는 모란봉악단의 활동 부진이 지난해 12월 중국 베이징(北京) 공연을 불과 3시간여 앞두고 취소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는 해석도 나왔다.

한편, 김정은은 초급 당위원장 대회 참가자들과 기념사진을 찍었다고 중앙통신이 이날 별도 기사에서 보도했다.

중앙통신은 김정은의 공연 관람 및 기념사진 촬영 사실을 전하는 기사 제목과 본문에서 모두 김정은을 ‘경애하는 최고령도자’로 표기했다.

북한 매체는 김정일 사망 5주기(12월 17일) 이후 김정은의 호칭을 ‘경애하는 최고령도자’로 일원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김정은을 김일성·김정일과 같은 반열에 올려놓기 위한 우상화 작업이 본격화했다는 관측이 최근 제기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