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黃, 朴정부 집권 연장 말라…조건없이 국회 나와야”

野 “黃, 朴정부 집권 연장 말라…조건없이 국회 나와야”

입력 2016-12-18 16:32
업데이트 2016-12-18 16: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黃광폭행보에 “주도권 빼앗길까” 위기감…“꼼수 중단하고 대정부질문 응하라”여야 대화단절 속 국정참여 공간확보 안돼…“돌파구 마련해야”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등 야권은 18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를 겨냥해 “대통령 흉내를 내지 말고 국회와 소통하라”며 비판을 이어갔다.

황 권한대행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나 한일 위안부 협정 등 주요 외교정책에 변경이 없다는 뜻을 분명히 밝히자 “박근혜 정부 2기를 자처하는 모습으로, 국민의 분노를 자초하는 것”이라며 공세 수위를 끌어올렸다.

특히 황 권한대행이 오는 20∼21일 대정부질문 출석 여부에 부정적인 듯한 반응을 보이자 “견제받지 않는 권력이 되겠다는 것”이라고 반발하면서 “조건없이 출석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같은 공세에는 황 권한대행이 예상외의 광폭 행보를 이어가면서 국정 운영의 주도권을 완전히 장악하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도 깔린 것으로 보인다.

설상가상으로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 원내지도부 선출 이후 여당과의 소통 창구가 단절되면서, 야권으로서는 국정운영에 개입할 공간이 마땅치 않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날 야당은 황 총리가 ‘월권’을 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 기동민 원내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황 권한대행은 대통령이 된 것이 아니다. 직분에 맞는 처신을 하라”며 “대통령 흉내내기는 그만둬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통령급 의전을 요구하고 공공기관장 인사를 강행하더니 이번엔 사드나 위안부 협정 등 대통령과 최순실이 주도한 정책을 강행하겠다고 한다”며 “권한대행의 미명 하에 박근혜 정부 집권 연장에 앞장서는 모습”이라고 비판했다.

국민의당 고연호 대변인 역시 “황 권한대행이 잿밥에 관심을 둔다면 커다란 국민적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며 “대행 역할을 하면서 대통령급 의전을 요구하는 등 불필요한 잡음은 엄중한 시국에 불안요소가 될 수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야권은 황 권한대행이 20~21일 예정된 대정부질문에 필히 참석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기 원내대변인은 “국무총리 신분에 맞게 국회에 출석해 현안질문에 성실히 답해야 한다”며 “그 자리에서 정책현안에 대해 국회와 함께 국민적 공통분모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견제받지 않은 권력의 비극이 어떤지 눈으로 보고 있지 않는가. 황 권한대행은 퇴진을 외치는 촛불의 분노를 허투루 봐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김효은 부대변인도 논평에서 “꼼수와 불통을 중단하고 조건없이 대정부질문에 응하라”고 촉구했다.

그러나 야권 내부에서는 황 권한대행이 광폭행보를 보이며 국정운영을 주도하는 상황에서 실질적으로 이를 제어할 수단이 없다는 점에 대한 고민도 감지된다.

실제로 정부는 황 권한대행의 주도로 내년도 경제정책방향을 확정해 29일 발표키로 했으나 이미 황 권한대행 체제와 유일호 경제부총리 체제를 인정한 야당이 제동을 걸기는 쉽지 않다. 자칫 야권이 경제위기 대응에 발목을 잡는다는 비난에 처할 우려도 있다.

새누리당 정우택 신임 원내대표 선출후 여야의 대화가 끊겼다는 것도 문제다.

두 야당의 원내지도부는 새누리당 경선 결과 친박계 원내지도부가 나오자 선거 결과가 “당분간 여야간 냉각기를 갖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민주당 원내 핵심 관계자는 “연말까지는 지금같은 대화단절 상태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새누리당 정진석 전 원내대표와 협의했던 여야정협의체 구성이 미뤄지는 등 국정운영에 참여할 창구는 점점 좁아지는 모양새다.

야권 관계자는 “야권이 정국 수습에 확실한 역할을 해야 한다. 돌파구를 찾아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