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선 대비 일부 보수언론에 ‘사전 경고장’

文, 대선 대비 일부 보수언론에 ‘사전 경고장’

장진복 기자
장진복 기자
입력 2016-12-16 22:48
업데이트 2016-12-17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종편 특혜 환수’ 등 언론개혁 언급 배경

“누가 집권해도 공영방송 등 바로세워야”
일각 “2012년 대선 피해의식 작용” 해석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가 16일 ‘종편(종합편성채널) 특혜 환수’를 포함한 ‘언론개혁’ 방침을 밝힌 것은 종편 등 일부 보수 언론에 대한 ‘사전 경고’ 성격으로 해석된다.

문 전 대표는 이날 경기 남양주에서 투병 중인 MBC 이용마 해직기자를 문병한 자리에서 방송·통신 정책과 관련해 종편 재인가 문제,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 언론자유 보장, 해직 언론인 명예회복 등을 강조했다. 문 전 대표는 “사실상 다음에 누가 권력을 잡을지 모르겠지만 야당이 설령 권력을 잡는다고 해도 KBS, MBC 문제를 빨리 고치지 않으면 공영방송을 바꾸기까지 앞으로도 요원하다”고 말했다. 유력 대선 주자로서 집권 시 ‘언론개혁’ 방향을 구체화한 것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2012년 대선 당시 일부 종편의 편향적 보도에 따른 ‘피해의식’이 자리잡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문 전 대표 측 관계자는 “극우 패널이 반복적으로 출연하는 등 언론의 공정성 차원에서 종편에 대한 문제 제기가 많았다”면서 “문 전 대표가 2012년 대선 후보로서 직접 겪었던 점과 당과 국민들이 제기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종합적으로 고려된 발언”이라고 말했다. 대선 국면이 본격화되기 전 보수 진영에 유리하게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잡겠다는 의지의 표현인 셈이다.

문 전 대표는 최근 ‘최순실 게이트’ 이후 ‘국가대청소’의 6대 과제 중 하나로 ‘언론 개혁’을 주장해 왔다. 정치권에서 제기되는 개헌 논의에도 “대통령을 감시·비판해야 할 언론이 제대로 역할을 했다면 어떻게 ‘제왕적 대통령’이 가능했겠느냐”며 언론개혁이 우선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한편 종합편성채널들의 방송 승인 기간이 대부분 내년 3월 만료됨에 따라 현재 방송통신위원회는 재승인 심사를 진행하고 있다. 총점 1000점 가운데 650점을 넘겨야 하고, 점수를 충족하더라도 공정성·공익성 항목에서 50%를 넘어야 통과된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6-12-17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