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자료 유출돼도 敵사용못하게 암호화 강화”…국방망 해킹대책

軍 “자료 유출돼도 敵사용못하게 암호화 강화”…국방망 해킹대책

입력 2016-12-12 16:17
업데이트 2016-12-12 16: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년 상반기중 백신체계 전면교체·‘사이버 헌터’ 상시 운영…해킹대책 보고

국방부는 12일 군 내부 사이버망(국방망) 해킹사건과 관련, 내년 상반기까지 새 백신체계로 전면교체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에 제출한 자료에서 “북한의 진화하는 해킹 기술에 대한 백신체계 구축 및 관리가 미흡했다”며 “관련 업체를 통해 식별된 취약점 보완 및 검증 작업을 하고 있고 이어 새 백신체계로 전면교체하겠다”고 보고했다.

국방부는 또 자료가 유출된 경우라도 적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암호화 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국방부 관계자는 “현재도 암호화가 돼 있지만 암호화 수준을 격상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국방부는 향후 대책으로 ▲국군사이버사령부 및 각 군 사이버 조직을 확대하고 ▲우리 군의 전용 백신체계를 개발하며 ▲사이버 특기, 사이버 예비군 신설 등으로 사이버 전문인력 확보에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북한 해커를 가장해 우리의 사이버망에 어떤 취약점이 있는지 찾아내는 ‘사이버 헌터’를 상시 운영하기로 했다. 군 관계자는 “현재는 사이버 헌터가 훈련 때만 활동하는데 이를 확대 운영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북한으로 추정되는 해킹 세력이 지난 8월부터 우리 군 정보가 집결하는 국방통합데이터센터(DIDC) 서버를 통해 국방망에 침투, 군사기밀을 포함한 군사자료를 빼낸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해킹 공격으로 감염된 컴퓨터는 모두 3천200여 대로, 이 중 2천500여 대는 인터넷용, 700대는 내부망용이다.

국방부는 북한의 소행으로 추정하는 이유로 ▲해킹경유지 중 북한이 사용하던 중국 선양의 IP주소가 식별됐고 ▲해킹에 활용된 악성코드가 북한이 사용했던 것과 유사하며 ▲한글자판 PC를 사용한 흔적이 발견됐다는 점 등을 들었다.

국방부는 또 KF-16 전투기 성능개량 사업과 관련해 방위사업청 6급 직원이 군사기밀 누설 혐의로 구속·기소된 데 대해 보안업무 혁신 종합대책을 수립해 시행중이라고 보고했다.

국방부는 외부기관과의 자료전송 체계의 보안을 강화하는 한편 비밀보관함 경보기능을 설치하는 등 비밀관리대책도 강화하기로 했다. 또 주요시설에 도·감청 방지장비와 X-레이 검색기 등을 설치하기로 했다.

국방부는 유출 자료는 합동무기체계목록서를 비롯한 3급 비밀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