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년만의 재벌 청문회…그때나 지금이나 ‘정경유착’의 그늘

28년만의 재벌 청문회…그때나 지금이나 ‘정경유착’의 그늘

입력 2016-12-06 10:46
업데이트 2016-12-06 1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88년 ‘5공비리 조사특위’, 2016년 ‘최순실 국조특위’‘재단 모금’ 논란 판박이…이번에는 ‘살아있는 권력’ 정조준

국회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 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가 6일 개최하는 1차 청문회는 ‘재벌 청문회’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몽구 현대기아차·최태원 SK·구본무 LG·신동빈 롯데·김승연 한화·조양호 한진·손경식 CJ그룹 회장 등 재계를 주름잡는 재벌 총수들이 일제히 청문회 증인석에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이는 28년 전인 1988년 ‘일해(日海) 청문회’를 고스란히 재연해놓은 듯하다. 당시 청문회는 전두환 전 대통령의 호를 딴 ‘일해재단’이 대기업들로부터 ‘아웅산 테러’ 희생자 유가족을 돕는다는 명목으로 모금한 것의 강제성과 대가성이 쟁점이었다.

국회는 전두환 정권의 비리를 파헤치기 위해 ‘제5공화국 비리 조사 특별위원회’를 구성, 1988년 말 청문회장에 정주영 전 현대그룹 명예회장을 비롯해 최순영 전 신동아그룹 회장, 류찬우 전 풍산금속 회장, 장치혁 전 고려합섬 회장, 양정모 전 국제그룹 회장, 이준용 전 대림산업 부회장 등 재벌 총수들을 불러세웠다.

사실상 정부가 주도한 재단에 대기업들이 수십억∼수백억원의 돈을 냈다는 점은 박 대통령의 비호 아래 최순실 씨가 세운 미르·K스포츠재단에 대기업들이 돈을 낸 이번 ‘최순실 게이트’와 판박이다.

당시 일해재단 모금은 ‘5공 실세’였던 장세동 전 국가안전기획부장(현재의 국가정보원장에 해당)이 깊이 개입했으며, 이번 역시 박 대통령의 측근인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비서관이 같은 혐의로 구속 기소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모금의 ‘고리’ 역할을 한 것도 되풀이됐다.

일해재단 이사장을 맡았던 정주영 전 회장의 차남인 정몽구 회장이 모습을 드러내는 것도 눈길을 끈다.

당시 정 전 회장은 “아웅산 유족들을 돕는다는 취지로 23억원을 걷을 때는 부담 없이 모금했고, 1백억원의 기금을 마련한 2차 모금 때도 재단 설립의 취지에 찬동, 적극 협조했지만 기금 목표가 2백억 이상으로 증액될 때는 내는 게 편하게 사는 길이라고 생각해서 냈다”고 말했다.

일해 청문회와 차이점을 꼽자면 당시는 1987년 ‘6월 항쟁’에 따른 민주화 이후 전 전 대통령이 물러난 시점에 열린 반면, 이번에는 ‘촛불 시위’가 진행 중인 가운데 박 대통령의 재임 중에 열렸다.

이날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한 재벌 총수들은 미르·K스포츠재단 모금 외에도 회사 합병, 면세점 선정, 사면 청탁 등 ‘정경 유착의 공범’이라는 세간의 의혹을 받고 있다.

이들의 한 마디 한 마디는 박 대통령을 상대로 추진되는 국회의 탄핵소추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장세동 전 안기부장은 1988년 청문회를 앞두고 “내가 입을 열면 모두가 불행해진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