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인권단체 “北서 마약 일상화…주민의 최소 30% 소비”

北인권단체 “北서 마약 일상화…주민의 최소 30% 소비”

입력 2016-12-01 11:22
업데이트 2016-12-01 11: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한인권정보센터, 北마약문제 세미나 개최

북한 주민의 30% 이상이 마약을 소비할 정도로 북한에 마약이 광범위하게 퍼져있다는 북한 인권단체의 분석이 나왔다.

민간단체인 북한인권정보센터(NKDB)가 북한 마약문제 해결을 위해 설립한 ‘북한마약류감시기구’의 이관형 연구원은 이 단체가 1일 오후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하는 북한 마약문제 세미나 발표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탈북민 심층면접 등을 토대로 북한 주민의 마약 소비 실태를 조사한 이 연구원은 “북한 주민들에게 마약은 ‘일상’, ‘문화’가 되어버렸다”며 “누구라도 (마약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구조적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그는 2010년 이후 탈북한 심층면접 대상자들의 구술 내용 등을 토대로 “최소 30% 이상의 북한 주민들이 메스암페타민(필로폰)과 아편 등의 마약을 소비하고 있는 것으로 봐도 무리가 없어 보인다”고 분석했다.

면접 대상자들은 북한 주민들이 여가나 오락, 각종 질환 치료 등에 메스암페타민을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답변했다고 이 연구원은 밝혔다.

아동·청소년까지 마약을 접할 수 있는 환경에 노출되면서, 6세 유치원생까지 마약 소비를 하는 것을 봤다는 증언도 나왔다고 그는 설명했다.

또 다른 발표자인 양옥경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도 “북한 내부에서 국가기관에 의해 생산, 유통되던 마약이 1990년대 이후 점차 국내에 확산해 주민들의 신체적, 정신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탈북민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북한 내 마약 사용 현황을 분석한 양 교수는 최근 탈북자일수록 마약 접촉(생산·장사·밀수 제외) 경험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양 교수에 따르면 1990년대 탈북민의 4.7%만이 마약 접촉 경험이 있었지만, 2013년에는 26.8%, 2014년에는 25.0%, 2015년에는 36.7%로 빠른 증가 추세를 보였다.

아울러 최근 탈북자일수록 북한 주민의 마약 사용 비율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고 양 교수는 밝혔다.

북한 주민의 10% 이하가 마약을 사용한다는 답변은 1990년대 탈북민의 경우 59.3%를 차지했으나 지난해 탈북민은 16.7%에 그쳤다. 반면 30∼50%가 사용할 것이라는 답변은 1990년대 11.1%, 지난해 33.3%로 최근 탈북민일수록 늘어났다.

발표자들은 한국은 물론 중국, 러시아 등 주변국이 공조해 북한 내 마약 문제 해결 노력에 나서야 하는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관형 연구원은 “북한 마약문제는 통일 이후의 문제가 아니라 현 시점의 ‘안보’ 문제일 수 있다”며 “초국가적 범죄로 확대되기 전에 공동의 노력과 해결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북한 마약문제로 인해 북한이탈주민들에 대한 오해와 부정적인 시각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그는 제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