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 ‘영수회담 회군’ 뒤… 되레 더 뭉치는 야권

秋 ‘영수회담 회군’ 뒤… 되레 더 뭉치는 야권

장진복 기자
장진복 기자
입력 2016-11-15 22:56
업데이트 2016-11-15 23: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秋 “두 야당에 유감… 전력투구” 박지원 “결단 평가… 전화위복”

제1야당 대표 위상 타격 불가피… 秋의 비선 거론 김민석 “아니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의 청와대 영수회담 철회 및 공개 사과를 계기로 균열 조짐을 보였던 ‘야권 공조’가 다시 단단해지는 모양새다.

이미지 확대
“禹 구속 수사” 촉구
“禹 구속 수사” 촉구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가 15일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우병우 구속 수사 촉구 농성’ 중인 민주당 의원들의 천막 농성장을 방문해 피켓을 들어 보이고 있다. 추 대표 옆은 민주당 박범계 의원.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추 대표는 15일 페이스북에 “두 야당에도 유감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제 야권과 시민사회가 힘을 합쳐 퇴진운동에 박차를 가하도록 전력투구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의당과 정의당은 화답하듯 즉각 환영의 입장을 나타냈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은 국회 원내대책회의에서 “추 대표의 결단을 높이 평가한다”며 “(야권 공조에) 전화위복의 계기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정의당 심상정 대표도 비상대책회의에서 “추 대표가 나쁜 의도로 영수회담을 추진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이제 야3당은 단일한 정국 수습안을 마련하는 데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당 의원들도 추 대표의 잘잘못을 따지기보다는, 당내 결속력을 다지는 데 집중했다. 한 중진 의원은 통화에서 “지금은 있던 갈등도 봉합해야 할 때”라면서 “‘삼진아웃제’에 따라 추 대표에게 한 번 더 기회를 주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처럼 이번 영수회담 ‘회군’이 일종의 ‘해프닝’으로 일단락되는 분위기지만 제1야당 대표로서의 리더십과 위상에 타격이 불가피하게 됐다. 한 비주류 의원은 “돈키호테 같은 당 대표에게 어떻게 대선 관리를 맡기겠느냐”고 우려했다.

영수회담을 제안한 배경을 놓고 의사 결정 과정에 ‘비선 실세’가 관여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국민의당 박 비대위원장은 “추미애의 최순실이 있다”고 꼬집었고, 이상돈 의원은 “문재인 전 대표와 직접적인 교감이 있었다는 가설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논란이 확산되자 추 대표는 “자중지란을 경계한다. 무슨 비밀 접촉이 있을 수 있으며 무슨 저의와 계산이 있을 수 있겠는가”라면서 “오해를 야기했다면 저의 모자람과 부덕의 탓”이라고 밝혔다. 실세로 지목된 당사자들도 극구 부인했다. 문 전 대표는 기자회견에서 “사전 논의는 없었다”고 잘라 말했다. 김민석 특보단장도 페이스북에 “자고 나니 실세가 되어 있다. 나는 최씨도 아니고 여자도 아니다”라는 글을 올렸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2016-11-16 5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