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野 ‘장외투쟁’ 전방위 압박공세…내부 ‘자충수’ 우려도

3野 ‘장외투쟁’ 전방위 압박공세…내부 ‘자충수’ 우려도

입력 2016-11-11 11:25
업데이트 2016-11-11 11: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층 강경해진 민주당…국민의당도 퇴진운동 돌입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정의당 등 세 야당 의원들이 12일 모두 촛불을 들고 거리로 나선다.

촛불민심이 절정으로 치닫는 상황에서 열리는 박근혜 대통령 퇴진 촉구 집회가 정국의 주도권을 야권으로 완전히 가져오는 결정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승부에 나서는 모습이다.

특히 그동안 “이번 주말 집회가 지나고서 정권 퇴진운동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견지했던 민주당의 경우 본격적인 퇴진 투쟁 쪽으로 한발 더 다가가는 모습이다. 전날 국민의당이 박 대통령에 대한 퇴진 서명운동에 벌이기로 하는 등 야권 내에서 강경론이 거세지는 분위기에 영향을 받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당내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이 국정에서 손을 뗄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퇴로없는 투쟁’에 나서는 것에 대한 경계심도 드러내고 있다. 이번 사태가 장기화할 것에 대비해 단계적이고 신중하게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민주당은 11일 오전 최고위원회에서 당 지도부 전원이 촛불집회에 나서기로 결론냈다. 전날까지만 해도 당내에서는 “지도부가 굳이 나설 필요는 없다”는 의견이 많았지만 이 같이 당론을 모았다. 이에 따라 세 야당의 의원들은 전원 촛불집회에 참석하게 됐다.

윤관석 수석대변인은 다만 거리행진 참가 여부에 대해서는 “내일은 민심을 경청만 하고 추가 행동은 하지 않기로 했다”고 답했다.

국민의당도 최근 박 대통령 퇴진 서명운동에 나서기로 한 데 이어 12일 집회에도 의원 전원이 참석키로 했고, 대통령 하야투쟁을 공식화한 정의당 역시 모두 촛불을 들기로 했다.

여기에는 이날 열리는 긴급현안질문에 이어 주말 집회가 정국의 주도권을 야당으로 가져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판단이 깔렸다. 다음주 이후로도 청와대를 압박해 국정에서 손을 떼도록 하겠다는 전략이다.

윤 수석대변인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내일 집회가 하나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면서 “민심의 둑이 터졌기 때문에 내일 이런 민심을 청와대에 확실히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당 손금주 수석대변인 역시 “국민적 분노가 집회를 통해 결집하는 만큼 우리 당은 국민의 마음과 함께하겠다는 생각”이라며 “야3당 지도부는 촛불민심을 살펴본 뒤 박 대통령의 국회 추천 총리 제안 문제, 대통령의 2선 후퇴나 하야 등 향후 거취 문제 등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여전히 지나친 강경투쟁은 오히려 자충수가 될 수 있다며 우려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민주당의 한 핵심관계자는 “장외로 나선 이상은 아무 성과가 없이 장외투쟁을 접을 수가 없다”며 “아직 퇴진론을 본격적으로 제기하진 않았지만, 퇴진론을 입에 올리는 순간 박 대통령이 퇴진하지 않으면 그만둘 수가 없는 투쟁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의당도 퇴진운동에 나서면서 이제 총리 문제에 대해 언급하기가 어려워졌다”며 “당장 나가서 퇴진을 외치는 것은 매우 쉬운 선택이지만, 그 이후 대통령이 태도변화를 보이지 않는다면 자칫 출구를 찾기 어려워 질 수도 있다”고 했다.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며 청와대와 힘 겨루기를 하는 사이 국정 공백이 길어지고 그 책임이 정치권 전체로 돌아올 수 있는 점도 야당 지도부에게는 부담이다.

이 탓에 민주당과 국민의당 등 두 야당 내에서는 퇴진 주장에 최대한 속도조절을 하려는 원내지도부와 선명한 투쟁을 요구하는 의원들 사이에서 이견도 감지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