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김여정 대북제재 리스트에 포함하는 방안 검토중”

정부 “김여정 대북제재 리스트에 포함하는 방안 검토중”

입력 2016-11-07 11:23
업데이트 2016-11-07 11: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일부 “대남공작 차원·혼란조성 목적 北 난수방송 늘어”

정부는 7일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당 선전선동부 부부장을 대북제재 리스트에 포함하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김여정이 대북제재 리스트에 포함되는 독자 대북제재 방안이 마련됐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자, “아직은 사실이 아니다”며 “지금은 신중하게 모든 것을 검토하고 있는 단계”라고 말했다.

정 대변인은 김여정이 제재대상에 포함될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안 중에, 신중하게 검토하는 것 중에 하나”라고 설명했다.

그는 ‘김정은을 제재 리스트에 포함하는 것도 검토 중이냐’는 추가 질문에는 “그런 것까지 구체적으로 모두 말씀드리기 어렵다”며 즉답을 피했다.

우리 정부는 지난 3월 2일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인 2270호가 채택된 지 엿새 후인 3월 8일 북한 단체 30개·개인 40명에 금융제재를 가하는 등의 독자 제재를 발표한 바 있다.

정 대변인은 북한의 대외선전매체 ‘조선의 오늘’이 중국 내 북한 식당에서 일하다 지난 4월 탈북한 종업원들의 부모를 내세워 한국의 ‘최순실 파문’을 비난한 것에 대해서는 “북한이 최 모 씨 사건에 대해 이렇게 왜곡 보도하는 것 자체가 내정 간섭적 행위”이라며 “그 사건을 빌미로 여러 가지 자기들한테 불리했던 이야기들을 다 엮어서 왜곡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북한의 남파공작원 지령용 난수(亂數) 방송 송출에 대해서는 “난수 방송이 10월 그리고 11월 들어 좀 많아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그전에는 한 달에 한두 번 하다가 10월 들어서는 네 번 했고, 11월에도 있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지금 우리 국내 상황을 염두에 두고 혼란 조성이라든지 여러 가지 대남공작 차원에서 이런 것들이 빈번하게 늘어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북한은 이런 구태의연하고 불순한 기도들이 더는 먹히지 않는다는 점을 직시하고, 태도를 바꾸기를 바란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