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신공항’ 잔불 정리 진력…영남권 민심 달래기 후속책 검토

與 ‘신공항’ 잔불 정리 진력…영남권 민심 달래기 후속책 검토

입력 2016-06-23 11:20
업데이트 2016-06-23 1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도부 “‘김해 신공항’ 최선의 결론…당정청 힘 모으겠다”

새누리당은 23일 ‘영남권 신공항’ 건설이 김해공항 확장으로 결정된 것을 둘러싼 당 안팎의 논란과 반발을 진화하는 데 진력했다.

당 지도부는 정부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지지한 데 이어 오는 27일에는 영남권 시도지사 5명과 간담회를 열어 주민의 이해와 설득을 구할 예정이다.

전날 원내지도부와 영남권 중진 의원들의 간담회에서 “정부 결정을 대승적으로 수용한다”고 의견을 모은 것의 연장선이다.

김희옥 혁신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혁신비대위 정례회의에서 “국가 미래를 최우선 고려해 얻은 최선의 결론인, 만큼 이를 존중하고 수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진석 원내대표도 “정부, 청와대와 혼연일체가 돼서 성공적인 신공항 건설의 준비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당 지도부의 이 같은 입장은 “김해 신공항 건설이 국민의 축하 속에서 성공적으로 이뤄지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는 박근혜 대통령의 발언과 맥을 같이 한다.

이번 결정이 정치적 논란으로 비화할 경우 여권의 텃밭인 영남권이 TK(대구·경북)와 PK(부산·경남)로 쪼개질 수 있다는 공감대가 이뤄진 셈이다.

또 야당이 이번 결정을 두고 박 대통령을 향해 ‘대선공약 파기’에 사과하라고 요구하는 등 공세 수위를 끌어올리려는 듯한 움직임에 공동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김해공항 확장에 따른 소음 피해 보상이나 인프라 확충 등 후속 조치를 위해 조만간 당·정·청이 모여 의견을 교환할 필요성도 거론된다.

김광림 정책위의장은 “정부는 김해 신공항 인근의 철도·도로 건설을 서둘러 김해 신공항의 접근성이 높아질 수 있도록 속도를 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러나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의 신공항 건설이 백지화된 PK와 TK 지역 의원들의 반발은 좀처럼 누그러지지 않고 있다.

김해공항 확장이 불가능하다던 기존의 입장을 180도 바꿔 확장이 최선의 방안이라고 발표한 정부의 설명에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게 가장 큰 이유다.

대구 지역 의원들은 전날 “구체적인 기술적 문제와 확장에 대한 객관적 자료로 가능성이 증명되기 전까지 이번 정부의 발표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조원진(대구 달서병)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국회 차원에서 이번 신공항 입지 선정 용역 과정을 철저히 조사하고 밝힐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상훈(대구 서) 의원도 “김해공항에 24시간 국제선 여객기가 내릴 수 있는지, 소음 피해는 어떡할 것인지 등 주민이 납득할 만한 설명이 전혀 없다”고 지적했다.

부산 지역 의원들도 들끓기는 마찬가지다. 정부가 뚜렷한 후속 대책을 제시하지 못한 채 김해공항 확장으로 밀어붙인다는 불만이 팽배하다.

김도읍(부산 강서을) 의원은 “김해공항이 신공항으로 지어져 국제공항의 기본인 24시간 운영을 하면 소음피해가 2배 이상으로 늘어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착륙·이륙 활주로 주변의 소음피해 지역이 어딘지, 그 지역 주민이 이주한다면 산업단지 조성 등 대안이 뭔지 구체적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