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무수단 미사일을 ‘화성-10’으로 지칭

北 무수단 미사일을 ‘화성-10’으로 지칭

입력 2016-06-23 09:12
업데이트 2016-06-23 09: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北에선 개발순서 따라 ‘화성’에 숫자 붙여 명명

북한이 23일 ‘지상대 지상 중장거리 전략탄도로케트 화성-10’의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보도하면서 그동안 한국과 미국 등 서방에서 ‘무수단 미사일’로 불러온 중거리 탄도미사일의 북한 명칭이 ‘화성-10’으로 확인됐다.

‘무수단’이라는 명칭은 미국의 첩보 위성이 북한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에서 이 미사일을 처음 식별한 데서 유래했다.

한미 군 당국이 편의상 ‘무수단’이라고 불렀지만 북한이 어떤 명칭으로 부르는지는 그동안 알려진 적이 없다 이번에 확인된 것이다.

한미 등은 북한의 탄도미사일에 노동, 대포동 등 북한 지명에서 유래한 명칭으로 부르고 있지만, 북한은 ‘화성’이라는 명칭 아래에 새로 개발할 때마다 숫자를 하나씩 늘리는 방식으로 명명하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1980년대 개발한 단거리 탄도미사일인 ‘스커드 B’를 화성-5, ‘스커드 C’를 화성-6로 부르고 있다는 게 군사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사거리 1천300㎞의 노동 미사일은 화성-7인 것으로 알려졌다.

무수단이 화성-10으로 명명되면서 화성-8과 화성-9는 시간상 무수단보다 먼저 시험발사를 했던 장거리미사일 대포동 1호와 대포동 2호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대포동 1호는 1994년 미국 첩보 위성에 처음 포착됐으며 1998년 시험 발사돼 일본 열도를 가로질러 1천600㎞를 날아갔다. 대포동2호는 2006년 시험 발사됐지만 발사 직후 결함이 발생해 인근 지역에 추락한 것으로 추정됐다.

한미 군 당국은 최근에는 북한이 신형 미사일을 개발한 것이 포착되면 지명 대신 북한(North Korea) 영문 이니셜의 앞뒤를 바꾼 ‘KN’에 숫자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명칭을 붙이고 있다.

북한의 KN-02, KN-06, KN-08, KN-09, KN-11, KN-14 미사일이 이 같은 방식으로 이름이 정해진 사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