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제재로 北지방도시 어두워 졌다…평양과 밝기차 증대”

“대북제재로 北지방도시 어두워 졌다…평양과 밝기차 증대”

입력 2016-06-15 11:25
업데이트 2016-06-15 11: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용석 연구원, 경남대 극동문제硏 국제학술회의서 주장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여파로 북한 수도인 평양과 지방간 야간 시간대 밝기 차이가 심화되고 있다는 전문가의 분석이 나왔다.

이용석 스탠퍼드대 SK센터 연구원은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와 독일 프리드리히 나우만 재단이 15일 서울 삼청동 소재 연구소에서 개최하는 국제학술회의 발표문에서 미국 군사기상위성시스템(DMSP) 자료를 근거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대북제재가 도시와 농촌지역 간의 야간 광도 격차를 증가시킨다는 점을 관찰하였다”며 “북한 정권의 지역 편애로 인해 정치권력의 중심지인 평양은 제재의 영향으로부터 가장 잘 보호된다”고 지적했다.

국제사회가 대북 제재 조치를 내놓을 때마다 평양과 나머지 지역간 야간 밝기 차이는 5.8%씩 벌어진다는 게 이 연구원의 주장이다. 그동안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대북제재 결의가 통과된 것은 총 5차례다.

이 연구원은 이어 “제조업 중심지인 도시와 광업 지대도 상대적으로 광도가 증가됐다”면서 “이는 대북제재에 따라 수입 대체품을 찾거나 자체 천연자원에 의존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국제무역으로부터 고립될 경우 제재대상국은 자원을 정치권력이 위치한 도시지역으로 재분배하기 때문에 대상국의 국내 불평등이 증가하고 생산과 무역활동을 위해 천연자원에 더 의존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강미진 데일리NK 북한팀장은 “대북제재 이후 북한시장의 물가에서 특별히 눈에 띈 것은 휘발유나 디젤 등의 가격상승”이라며 “이는 수입이 중단된 것과 김정은 체제가 노동당 7차 대회와 관련하여 전국에서 대대적인 공사를 벌이고 있는 것이 요인”이라고 밝혔다.

그는 “대북제재를 받고 있다는 압박감에 북한 주민들은 불안감이 상승하고 있다”면서 “대북제재가 언제까지 지속할지 관심을 보이는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