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비대위, 계파 투영되나…복당 찬반 ‘양분’ 험로 예고

與 비대위, 계파 투영되나…복당 찬반 ‘양분’ 험로 예고

입력 2016-06-03 11:11
업데이트 2016-06-03 11: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체성 맞아야” vs “무조건 복당”…친박·비박계처럼 의견 갈려

새누리당 혁신비대위에 당내의 친박(친박근혜) 비박계 갈등구도가 그대로 투영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원내외 비대위원 전원을 상대로 연합뉴스가 3일 당 현안에 대한 입장을 확인한 결과 유승민 윤상현 의원에 대한 복당에 대해 양대 계파의 찬반 논리가 복사판처럼 재현됐다.

한 비대위원은 통화에서 “당이 그렇게 분열된 것은 따지고 보면 당의 정체성에 관해서 혼란이 있었기 때문”이라면서 “복당은 당의 정체성을 기준으로 해서 결정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 위원은 “새누리당은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원칙으로 한다고 당헌에 규정하고 있다”면서 “여기에 반하는 발언을 하거나 정책을 추진하는 인물은 부득이 당과 함께 갈 수 없다”고 밝혔다.

박근혜 대통령으로부터 ‘배신의 정치’로 낙인찍힌 유승민 의원을 친박계가 축출하다시피 하며 몰아갈 때 하던 주장과 상통한다.

또 다른 비대위원은 “국민으로부터 사랑과 신뢰를 되찾는 게 가장 시급한 문제”라면서 “복당도 이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나올 부차적인 사안으로서 제일 중요한 현안이라고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반면 다른 비대위원은 “정당은 다양한 생각이 서로 마찰하고 경쟁하면서 여러 계층의 이익이나 시각을 수용해서 가는 것”이라면서 “의회 민주주의라는 것은 효율성과 민주성이 항상 충돌하면서 어떻게 민주성을 확보하느냐가 관건인 시스템”이라고 설명했다.

이 위원은 “권위주의 시대에는 효율성을 강조했지만 이제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다양하게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박계가 박 대통령의 국정 운영 방식에 대해 ‘소통 부족’이라고 지적하며 유 의원을 엄호할 때 앞세웠던 논리 그대로다.

또 다른 비대위원은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공천 과정에서 유승민 공천을 질질 끌면서 우리 당이 국민으로부터 신뢰를 많이 잃었다”면서 “복당 문제도 마찬가지로서 무조건 빨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복당 방식을 둘러싸고도 대립각이 첨예하다.

정체성 논란에 휩싸인 유 의원은 친박계의 반대로, 김무성 전 대표에 대한 막말 논란 중심에 섰던 윤 의원은 비박계의 반대로 복당 문제가 꼬이자 한 비대위원은 “선별 복당을 대안으로 생각해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또 다른 비대위원은 “공천의 잘못으로 생겨난 탈당인 만큼 일괄 복당시키는 게 맞다”면서 “개인의 시시비비를 가려서 선별 복당을 한다면 다시 계파 갈등의 수렁에 빠진다”고 반대했다.

이렇게 복당을 놓고 의견이 엇갈리자 당 내부 몫 비대위원인 친박계 이학재, 비박계 김영우 의원뿐 아니라 외부 위원도 결국은 계파의 추천을 받은 ‘대리인’ 자격으로 참석한 것 아니냐는 추측마저 나온다.

이에 따라 혁신비대위가 당내 계파간 대결장이 아니라 고질적 병폐로 지적되는 계파문제를 뛰어넘기 위해서는 김희옥 위원장의 정치력과 비대위원들의 공정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과정 참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 이런 우려 때문에 오는 7∼8월로 예상되는 전당대회 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혁신비대위가 당 재건과 혁신의 산파 역할에는 미치지 못한 채 징검다리 역할만 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