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선 내 정치를 말한다] <34>새누리 김성원

[초선 내 정치를 말한다] <34>새누리 김성원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16-06-02 22:52
업데이트 2016-06-03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골목골목 찾아가는 ‘소정치’ 통일한국 대비하는 ‘큰정치’

20대 국회 새누리당 지역구 국회의원 중 가장 나이가 어린 김성원(42·경기 동두천·연천) 의원은 국회와 당에 부족한 점으로 ‘속도’를 꼽았다. 첫 당선자 총회에서 “30~40대가 새누리당을 좋아하지 않는 이유는 속도가 느려서”라고 당차게 말했다. 그는 2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국회도 무게와 격식을 따지느라 부처 장관, 차관을 부를 게 아니고 사무관이나 과장이 직접 설명하는 등 보다 현실적인 문제 해결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김성원 새누리당 의원
김성원 새누리당 의원
Q. 나에게 정치는 무엇인가.

A. 설계. 토목공학을 전공했는데 모든 것의 기본은 설계다. 설계가 잘못되면 전체가 다 어긋난다. 설계처럼 우리가 나아갈 방향을 정확하게 제시하고 힘을 모을 수 있는 청사진을 보여주는 게 정치다. 결국 정치가 바로 서야 민생도, 나라도 일어서는 것 아니겠나.

Q. 정치를 선택한 계기는.

A. 아버지. 동두천 시의원을 두 번 하셨다. 소선거구제였던 당시 시의원이 각 동을 다니며 시에서 보지 못하는 곳들을 찾아 도와주곤 했다. 아버지가 했던 이런 소정치에서부터 세상이 바뀌고 밝아진다는 것을 느꼈다. 아버지 선거운동을 도와 인사를 다녔는데 아버지가 한 장애인에게 다가가 악수를 청하자 오지 말라고 싫다고 했다. 두 번째 만났을 때도 손사래를 치던 사람이 세 번째 만났을 때는 엄지손가락을 치켜들더라. 진정성을 갖고 하면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다는 걸 깨달았다.

Q. 토목 전공인데 초선에 최연소라 국토교통위원회에 갈 수 있을까.

A. 일하는 국회와 통일 한국을 위해서 꼭. 원내부대표에 청년소통특별위원회 위원장까지 맡아서, 일부 선배들이 혜택을 너무 많이 받았으니 상임위원회는 인기 없는 곳으로 가라고 농담 삼아 말한다. 그러나 20대 국회 민의는 ‘일하는 국회’다. 전문성을 갖고 정치를 제대로 해보려고 토목공학으로 석사, 학사, 박사를 모두 땄다. 일을 하려면 국토위에 가야 한다. 저마다 ‘일꾼’을 자처하지만 이들이 일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것이 원내 지도부의 역할이다. 한반도가 통일되면 가장 중심이 될 도시가 연천인데 인프라를 미리 구축하지 않으면 통일 뒤 혼란에 빠질 것이다. 국토위에 가서 준비해야 한다.

Q. 20대 국회에서 김성원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A. 정치적 실험 중. 국회 월급을 받는 직원은 전부 국회에서 일을 하도록 하고 있다. 지역 사무실에 있는 직원 월급은 사비를 쓰든, 후원금으로 충당하든 국민의 세금을 쓰지 않는다. 그래서 다른 의원보다 의원실 직원이 훨씬 많다. 보통 국회 직원 2~3명은 지역으로 보내지만, 국회 직원은 국회에서 일하라는 게 내 원칙이다.

Q. 중점적으로 추진하려는 법안은.

A. 통일경제특구법안. 연천, 동두천, 철원, 파주 등을 통일 한국의 경제 중심도시로 만들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 모법이 있어야 지원과 준비를 할 수 있다. 우선 중첩된 규제를 완화해서 도로나 물류기지, 산업단지 등 부지를 준비할 수 있게 하는 것. 전체를 다 풀자는 것은 아니다. 연천, 동두천도 마을회관에서 자다 보면 북쪽에서 포탄 소리가 들려온다. 지원이 연평도에 집중돼 있는데 접경지에 골고루 돌아가야 한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프로필 ▲1973년 경기 동두천 출생 ▲고려대 토목환경공학과 졸업 ▲(현) 새누리당 원내부대표, 국회의장 정무비서관, 고려대 연구교수, 한국자유총연맹 대외협력실장
2016-06-03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