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재향군인부, 살아있는 4000여명을 ´사망자로´ 둔갑

美 재향군인부, 살아있는 4000여명을 ´사망자로´ 둔갑

임일영 기자
임일영 기자
입력 2016-05-26 01:58
업데이트 2016-05-26 01: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월스트리트저널 보도

 미국 재향군인부(VA·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가 살아있는 퇴역군인 4000여 명을 행정 실수 탓에 죽은 사람으로 둔갑시키는 어처구니없는 실수가 벌어졌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우리나라 국가보훈처에 해당하는 미 재향군인부 소속 직원의 실수로 말미암아 지난 5년 동안 모두 4201명의 퇴역 군인이 사망한 것으로 등록돼 정부가 제공하는 각종 혜택이 중단되는 일이 있었다고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해군으로 복무한 뒤 현재 플로리다 주에 거주하는 마이클 리커(69)는 두 번이나 사망자가 됐다가 살아난 경우다. 지난해에 갑자기 정부 혜택이 끊긴 것을 알고 몇 개월 뒤에 살려냈으나, 다시 죽은 사람으로 등록됐다.

 리커는 플로리다 주 출신인 데이비드 졸리 하원의원(공화당)의 도움으로 당국에 생존 사실을 확인시켜 주고 혜택을 다시 받게 됐다. 리커가 갑자기 사망자로 등록된 것은 그의 중간 이름이 ‘C’인데도 직원이 ‘G’로 착각했기 때문으로 확인됐다. VA는 이 같은 실수를 인정하고 성명을 통해 “직원의 실수로 불편이 초래된 데 대해 유감을 표명한다”며 “실수가 확인되는 대로 가능한 한 빨리 바로잡도록 하겠다”며 사과했다.

 한편 미국의 퇴역 군인 중 매년 40만 명이 사망해 혜택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VA는 밝혔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