孫, ‘5·18 광주’서 “새판짜는데 앞장”…정계복귀 강력 시사

孫, ‘5·18 광주’서 “새판짜는데 앞장”…정계복귀 강력 시사

입력 2016-05-18 12:02
업데이트 2016-05-18 17: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복귀시점 7월 전후설…野 대선구도에 영향 속 정계개편 신호탄?

더불어민주당 손학규 전 상임고문이 18일 “우리는 4·13 총선 결과를 깊이 새기고 국민의 분노와 좌절을 제대로 안아 새판을 짜는데 앞장서나갈 것을 다짐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지난 2014년 7·30 수원 팔당 보궐선거 패배 후 정계은퇴를 선언, 전남 강진에서 칩거에 들어간 지 21개월만에 정계복귀를 강하게 시사한 것이다. 야권의 심장부인 ‘5·18 광주’에서였다.

야권 내에서 꾸준하게 구원등판론이 제기돼온 손 전 고문이 약 2년만에 컴백할 경우 기존의 야권내 대선주자 구도도 요동치게 될 전망이다.

야권이 더민주와 국민의당의 ‘두 야당’ 체제로 재편된 가운데 ‘새판짜기론’을 내건 그의 복귀는 8월말 9월초 더민주의 전당대회를 앞두고 있는 야권 지형 재편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무엇보다 최근 새누리당 김성태 의원이 손 전 고문을 당 비대위원장 후보로 거론하고 여권의 분화 시나리오까지 도는 등 정치권 상황이 복잡하게 돌아가고 있는 것과 맞물려 경우에 따라 정치권 전체의 새판짜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시선도 일각서 나온다.

손 전 고문은 이날 5·18 광주 민주화운동 36주년을 맞아 측근과 지지자 등 250여명과 함께 5·18 민주묘역을 찾았다.

그는 참배 후 기자들과 만나 “5·18의 뜻은 시작이다. 각성의 시작이자 분노와 심판의 시작이다. 또한 용서와 화해의 시작이기도 하다”며 “지금 국민의 요구는 이 모든 것을 녹여내는 새판을 시작하는 것”이라고 의미심장한 발언을 했다.

야권에서 역할을 해달라는 요청이 많다는 질문에 “이 정도만 (얘기) 하죠”라며 즉답을 피했지만, 이어진 오찬 자리에서 손 전 고문은 새판짜기 주도론을 내세워 사실상 정계복귀 선언이 아니냐는 해석을 낳았다.

그는 “오늘이 새롭게 느껴지는 것은 5·18이 항상 시작을 의미하고 오늘 우리가 국민의 염원을 담아서 이 모든 뜻을 녹여낼 수 있는 새판을 시작한다는데 그 뜻이 있어서다”라고 말했다.

이어 “국내적으로 경제가 어렵고 일자리가 부족해 청년들은 희망을 잃고 좌절에 빠져있다. 그 분노와 좌절의 표시가 이번 4·13 총선 결과”라며 “우리는 새판을 짜는데 앞장서 나갈 것을 여러분과 함께 같이 마음을 나누고 다짐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손 전 고문은 이날 발언의 ‘의미’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아무런 대답을 하지 않은 채 지지자들의 요청으로 ‘손하트’를 만들어보인 뒤 오찬장을 떴다.

이날 ‘회합’에는 송태호 동아시아미래재단 이사장과 양승조 이찬열 이개호 의원, 김병욱 고용진 박찬대 어기구 당선인 등 500여명이 몰려와 출정식을 방불케 했다.

손 전 고문의 발언 도중 ‘손학규, 손학규’라는 연호가 나왔으며, 한 지지자는 ‘손학규 대통령’이라는 구호의 삼창을 제안하기도 했다.

손 전 고문은 행사 직후 일본 게이오대 초청 강연을 위해 3박4일 일정으로 출국했다.

한 핵심 관계자는 “구 정치질서에 대한 전면 거부, 새 정치질서로의 재편이라는 총선 민의에 따라 실천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 같다”며 “각 정당의 상황이 유동적이고 여의도 정치가 격변기를 겪고 있는 만큼, 당장 어떤 행동으로 이어지진 않을 것 같다. 좀 더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손 전 고문 주변에서는 ‘하산’(下山)의 시기와 관련, 오는 7월 손 전 고문의 싱크탱크인 동아시아미래재단이 10주년을 맞는 것을 눈여겨보는 시선이 적지 않다.

앞서 손 전 고문은 지난 4·13 총선 국면에서 더민주의 수도권 박빙지역 후보들에 대한 지원을 검토했으나 막판에 이를 접은 바 있다.

더민주와 국민의당 양쪽에서 러브콜을 받아온 손 전 고문이 정치활동을 재개할 경우 그 선택지는 경우에 따라 제3지대가 될 수 있다는 시나리오도 제기되고 있다.

한 관계자는 “구질서의 재편이라는 큰 틀에서 고민이 구체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