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협치’로 정국반전 모색…당·청 결속도 강조

朴대통령, ‘협치’로 정국반전 모색…당·청 결속도 강조

입력 2016-04-26 21:04
업데이트 2016-04-26 2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소야대 정국서 야당과 소통의지…빠르면 내달초 3당 회동구조조정·노동개혁·교과서 각론서 입장고수…협치성과는 미지수경제에 방점찍으며 聯政·개헌 반대…87년 체제 개편론엔 부정적 인식“여소야대보다 힘든건 정부여당 삐걱”…與 국정뒷받침 필요성 강조

박 대통령은 정치권에서 제기되는 개각 요구에 대해선 “안보가 시시각각 어떻게 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지금 (내각을) 변화하고 그렇게 할 여유가 없다”는 이유를 들었다.

안보와 경제의 이중위기 상황에서 부처 장관을 교체할 경우 안정적 국정운영의 토대가 흔들릴 수 있다는 인식을 내비친 것이다.

여기에는 내각 개편의 내용을 놓고 예상치 못한 역풍이 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20대 국회가 개원하지 않은 상황에서 인사청문회 절차가 원활치 않을 수 있다는 현실론도 반영돼있다는 분석이다.

박 대통령은 지난 18일 수석비서관 회의에서도 “비서실과 내각은 새로운 각오로 국정에 전력을 다해 주길 바라고, 경제 활성화와 민생 안정을 위한 정책들을 꼼꼼히 챙기고, 흔들림 없이 추진해 주기를 바란다”고 언급한 바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인적쇄신을 하려해도 현실적인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며 “현재로선 내각의 안정을 유지하면서 국정과제에서 성과를 내는게 중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 경제에 방점찍으며 聯政·개헌 반대…87년 체제 개편론에 부정적 = 박 대통령은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되는 야당과의 연정론에 대해선 “지금 국민이 만들어주신 틀 속에서 국정을 해나가는 게 좋지 않겠냐고 생각한다”며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

또한, 박 대통령이 정국 주도권을 놓지 않기 위해 개헌 카드를 꺼내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지만, “지금 이 상태에서 개헌을 하게 되면 경제는 어떻게 살리느냐”며 사실상 추진 가능성을 닫았다.

총선 이후 여소야대 정국이 형성되면서 1987년 체제의 한계가 거론되지만, 현 대통령제 하에서 협치를 통해 국정과제를 완수하고 이를 통해 평가를 받겠다는 의지를 보였다는 분석이다.

◇ 배신정치에 비애감 거듭 토로…여당의 국정뒷받침 강조 = 박 대통령은 무소속 유승민 의원의 새누리당 복당 여부에 대해 “새누리당이 협의해 판단할 문제”라면서 유 의원을 겨냥해 ‘배신의 정치’를 언급한 배경에 허심탄회하게 말해 주목을 받았다.

박 대통령은 “자기정치한다고 대통령을 더 힘들게 만들고 하나도 도와주지 않는 많은 사람들을 보면서 제가 느꼈던 평소의 비애, 허탈함 같은 것을 그때 전반적으로 얘기한 거라고 생각하시면 되겠다”며 유 의원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그러면서 “여소야대보다 사실 더 힘든 것은 여당과 정부는 수레의 두 바퀴로서 계속 서로 협의해 가면서 같이 굴러가야 국정운영이 원활해지는데 내부에서 그게 안 맞아 삐걱거리는 것”이라며 당청관계 설정에 대한 인식을 내비쳤다.

이는 앞으로도 당청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야 한다는 주문으로도 읽혀, 새누리당의 새 지도부 구성과 관련해 메시지를 던진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