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민주, 탈당자 상관없이 현역 20% 물갈이 기류…공천 뇌관

더민주, 탈당자 상관없이 현역 20% 물갈이 기류…공천 뇌관

입력 2016-02-10 09:34
업데이트 2016-02-10 09: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역 하위 20% 공천 원천배제’ 논란 재점화

김종인측 “탈당 상관없이 원칙 적용돼야”…물갈이폭 커질듯
현역들 “전임지도부 방침 변경한 것…수긍 어려워” 반발

더불어민주당의 현역의원 평가 하위 20% 공천 배제 조항이 논란의 대상으로 부상하고 있다.

더민주는 문재인 전 대표 시절, 127명의 현역의원 평가를 실시해 하위 20%를 공천에서 원천 배제(컷오프)하는 공천룰을 만든 바 있다. 당시 규정대로라면 지역구 106명 중 21명, 비례대표 21명 중 4명이 배제 대상이다.

그러나 이후 탈당 사태가 생기면서 이들을 원천배제 대상에 포함시킬지가 쟁점이 됐고, 당시 지도부는 탈당자도 배제 대상에 포함시킨다는 잠정 결론을 내렸다.

따라서 지역구 배제자는 21명이지만 이미 20명이 탈당하거나 불출마를 선언해 추가로 1명만, 비례대표는 이탈자가 없어 여전히 4명이 각각 배제 대상이 되는 셈이었다.

하지만 김종인 비대위원장이 취임한 이후 상황이 달라졌다. 김 위원장은 취임 초만 해도 20% 기준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는 것처럼 보였지만 최근 들어 탈당 여부에 상관없이 20% 배제 조항을 지키겠다는 의지를 피력하고 있다.

탈당, 당 잔류 여부에 상관없이 하위 20%에 해당되면 모두 배제 대상에 포함된다는 취지다. 예를 들어 지역구 원천 배제자 21명 중 탈당자가 5명 포함돼 있다면 나머지 16명은 당 잔류를 선언한 사람 중에 배제시킨다는 의미다.

김 위원장의 한 핵심측근도 10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김 위원장은 20%에 탈당자나 불출마자를 포함시킨다는 것이 합당하지 않다는 생각”이라며 “국민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 의원이라면 다 정리해야 한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김 위원장은 지난 2일 전북지역 기자간담회에서 “그동안 많은 분이 나갔기 때문에 숫자가 채워진 것 아니냐고 단정적으로 말하는 분도 있는데, 공천관리위에서 공천심사 하는 과정에서 기준에 못미치는 사람들은 현역의 경우도 그대로 적용될 수밖에 없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현역의원들은 사실상 새 지도부가 이전 방침을 바꾼 것이라는 강한 불만을 표시해 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수도권의 한 재선 의원은 “상황이 바뀌었다고 룰을 바꾸는 것은 의원들에게 큰 부담을 주기 때문에 정해진 룰은 지키는 것이 좋다”며 “점수를 매겨 미달하는 사람을 탈락시키는 것이 지지자들 요구에 꼭 부응하는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충청권의 한 의원도 “탈당한 사람까지 포함한다는 것이 전임 지도부의 방침은 지켜야 한다”고 주문했다.

시기적으로 이 문제가 벌써 논란의 대상이 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주장도 있다.

수도권 한 재선 의원은 “원천배제자가 20%를 넘을 수도, 아닐 수도 있지만 전략전술상 여당의 공천 흐름과 맞춰서 결정할 사항”이라며 “여당보다 반 발만 앞서가면 되는데, 지금 얘기하면 당내 분란만 키울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홍창선 공천관리위원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미리 제 생각을 이야기하면 칼자루를 휘두른다는 말이 나올 수 있으니 공관위 인선이 마무리되면 위원들과 공유한 다음에 입장을 밝혀야 분란이 안 생긴다”고 즉답을 피했다.

다만 컷오프 대상이 발표되면 국민의당으로 이탈하는 의원들이 생길 수 있는 만큼 최소한 오는 15일 이후에 명단을 공개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국민의당이 15일 이전에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하면 18억원에 가까운 국고보조금을 받고, 2월 임시국회의 여야 협상에도 교섭단체 자격으로 참여할 수 있어 자칫 국민의당을 도와주는 결과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