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준표결 오늘이냐, 연기냐…타이밍에 담긴 정치셈법

인준표결 오늘이냐, 연기냐…타이밍에 담긴 정치셈법

입력 2015-02-12 10:31
업데이트 2015-02-12 10: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與, 설前 처리 절박…무산시 개각 차질·설 민심 악화 野, 반대 모양새 고려하며 이완구 ‘자진사퇴’ 압박

새누리당은 야당의 연기 요청에도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국회 임명동의안 표결을 12일 강행하겠다는데는 설 연휴(18∼20일) 이전에 총리 인준 국면을 마무리하고 정국을 전환하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이날 표결 강행을 주장하는 표면적 이유는 여야가 총리 인준안 처리를 위한 ‘12일 본회의’ 개회에 이미 합의한 점을 들고 있다.

하지만 이면에는 총리 임명후 단행할 개각과 청와대 개편이라는 정치적 스케줄과 다음주로 다가온 설 연휴라는 물리적 스케줄을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청와대는 이 후보자가 인준이 이뤄지면 곧바로 공석인 해양수산부 장관을 포함한 소폭의 개각과 청와대 인사를 단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르면 주말, 늦어도 설 연휴 전인 다음주 초로 인선 발표를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후보자 인준이 미뤄지면 후속 인사 차질은 불가피하다. 개각을 기점으로 국정을 다 잡으려는 청와대의 구상도 흐트러지게 된다.

’설 민심’도 고려되는 중요한 변수다.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20%대까지로 추락한 상황에서 청와대로서는 설 연휴 밥상머리 민심을 다독여 국정동력 회복을 위한 반전의 계기를 잡아야 하는 절박함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반드시 설 연휴전 이 후보자 인준을 마무리하고 인적 개편을 통한 일신의 면모를 국민에게 보여줘야 한다.

반면 이 후보자 인준이 설 연휴까지 마무리되지 않으면 반대 상황으로 전개될 수 있다. 새 총리도 제때 임명하지 못하는 국정 난맥상이 설 밥상머리 화제로 올라 여론이 더욱 악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새누리당 일각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이 이 후보자 인준 표결을 위한 국회 본회의를 설 연휴가 지난 23일 혹은 24일로 미루자고 제안한 데도 이런 정치적 셈법이 있는게 아니냐는 의혹의 시선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단지 표결 절차를 뒤로 미루자는 시간적 연기가 아니라, 여권의 정치적 스케줄에 타격을 주겠다는 정치적 계산이 숨어 있다는 것이다.

새정치연합으로서도 복잡한 계산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 후보자 인준 반대 입장으로 가닥을 잡았지만, 반대의 모양새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인준 표결 자체에 불참할 경우 정치적 부담도 감안해야 하고, 반대 표결로 인준 절차에 참여할 경우 사실상 이 후보 인준을 용인했다는 비판도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시간을 벌면서 설 연휴 민심 악화를 동력으로 이 후보자의 ‘자진사퇴’를 유도한다는 의도가 본회의 연기 제안에 담겨 있다는게 정치권 해석이다.

새정치연합 내부에서는 충청 출신인 이 후보자에 대한 인준에 반대표를 던지거나 표결에 불참하면 내년 총선이나 2017년 대선에서 ‘충청 민심’을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