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현장> 정종섭 장관, ‘국회해산’ 발언 결국 사과

<국감현장> 정종섭 장관, ‘국회해산’ 발언 결국 사과

입력 2014-10-07 00:00
업데이트 2014-10-07 14: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종섭 안전행정부 장관이 자신의 ‘국회 해산’ 발언에 대해 결국 사과했다.

이미지 확대
인사하는 정종섭 안행부 장관
인사하는 정종섭 안행부 장관 국회 정무위원회와 안전행정위원회(안행위)를 비롯한 12개 상임위별로 소관 기관을 대상으로 일제히 국정감사에 들어간 7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회 안행위의 안전행정부 국정감사에서 정종섭 안행부 장관이 업무보고에 앞서 인사하고 있다. 이날 정 장관은 최근 국회 해산 발언에 대한 사과 요구를 받고 ”제 발언의 진의가 왜곡돼 국회와 국회의원의 권위에 손상이 갔다면 죄송하다”며 공식 사과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답변하는 정종섭 안행부 장관
답변하는 정종섭 안행부 장관 국회 정무위원회와 안전행정위원회(안행위)를 비롯한 12개 상임위별로 소관 기관을 대상으로 일제히 국정감사에 들어간 7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회 안행위의 안전행정부 국정감사에서 정종섭 안행부 장관이 다양한 표정으로 답변을 하고 있다. 이날 정 장관은 최근 국회 해산 발언에 대한 사과 요구를 받고 “제 발언의 진의가 왜곡돼 국회와 국회의원의 권위에 손상이 갔다면 죄송하다”며 공식 사과했다.
연합뉴스




정종섭 장관은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안행부 대상 국정감사에서 장관의 국회 해산 발언에 대한 사과 요구를 받고 “제 발언의 진의가 왜곡돼 국회와 국회의원의 권위에 손상이 갔다면 죄송하다”며 고개를 숙였다.

앞서 지난달 정 장관은 기자들과 만나 “현재와 같은 국회 교착상태라면 의원내각제에서는 의회를 해산할 사안”이라고 말해 논란을 일으켰다.

이날 안행위 야당 간사인 정청래 의원은 의사진행 발언을 신청해 “박근혜 대통령도 2005년 사학법 투쟁 때 50여 일간 장외투쟁을 하며 국회를 보이콧 했다”면서 “국무위원으로서 부적절한 발언에 대해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정 장관은 “제 발언이 언론을 통해 와전된 것”이라며 사과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

그는 “현재 우리나라 국회를 해산해야 한다는 뜻이 아니라, 국회가 장기간 교착되는 경우 의원내각제 국가라면 국회 해산을 통해 국민에게 다시 신임을 물을 수 있다는 것을 헌법학자로서 말씀드렸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야당 강창일·주승용 의원이 재발방지 차원에서 사과가 필요하다고 잇따라 장관을 압박한 데 이어, 여당의 조원진 간사까지도 “진의가 오해되거나 기자가 잘못 썼을 수도 있지만 장관의 사과가 필요하다”고 가세하자 정 장관은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사과의 뜻을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