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보고 방송중계 문제로 지연…오후 2시 개최

국정원 보고 방송중계 문제로 지연…오후 2시 개최

입력 2013-08-05 00:00
업데이트 2013-08-05 1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불꽃공방’ 예상…여야, 증인채택 협상 난항할 듯

당초 5일 오전 10시부터 열릴 예정이던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사건 국정조사 특위의 국정원 기관보고가 방송사 중계 문제로 정상적으로 개의하지 못한 채 오후 2시로 연기됐다.

국정원 국조특위 여야 간사, ‘회의는 오후 2시에’ 국회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 사건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권성동 새누리당 간사(오른쪽)와 정청래 야당 간사가 5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TV 생중계’ 문제로 회의를 오후 2시로 연기하기로 했다는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정원 국조특위 여야 간사, ‘회의는 오후 2시에’
국회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 사건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권성동 새누리당 간사(오른쪽)와 정청래 야당 간사가 5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TV 생중계’ 문제로 회의를 오후 2시로 연기하기로 했다는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조 특위 야당 간사인 정청래 의원은 오전 10시가 조금 넘은 시각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KBS, MBC, SBS 등 방송 3사가 특위 회의를 중계하지 않기로 한 것을 문제 삼으며 국정원 기관보고 청취 잠정 거부를 선언했다.

정 의원은 “여야가 지상파 3사와 YTN, 국회방송 등 5개 방송 생중계를 전제로 1시간 공개하기로 이미 합의했으나 어찌된 일인지 방송사가 생중계를 못하겠다고 오늘 오전 통보해왔다. 새누리당과 국정원의 음모와 조작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여당 특위위원들은 당초 개의 시간에 맞춰 회의장에 입장했지만, 민주당 소속 위원들은 모습을 나타내지 않았다.

남재준 국정원장을 비롯한 국정원 주요 간부들도 기관증인석에 착석해 회의 개의를 기다렸다.

국조 특위가 열리지 못하자 여야 간사인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과 민주당 정청래 의원은 긴급 협의에 나섰으며 논란 끝에 여야 합의로 방송 3사에 생중계를 요청하기로 하고 이들 방송사의 생중계 여부와 상관없이 오후 2시에 국정원 기관보고를 재개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우여곡절 끝에 재가동키로 한 국정원 국조특위는 파국은 간신히 면했다.

오후 회의는 기존 합의대로 남재준 국정원장의 인사말과 간부소개, 여야 간사 및 간사가 지명한 1인 등 총 4명의 기조발언(각 10분)만 공개되고 이후 기관보고와 질의응답은 비공개로 진행된다.

기조발언은 특위 여야 간사인 새누리당 권성동, 민주당 정청래 의원 외에 새누리당에서는 김태흠, 민주당에서는 박영선 의원이 각각 할 예정이다.

이날 기관보고에서는 여야의 불꽃공방이 예상된다.

민주당은 국정원의 대선개입 의혹을 ‘국기문란’으로 간주하고 이에 대한 진실규명에 집중하는 한편,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공개한 남재준 국정원장의 사과와 사퇴를 촉구할 예정이다.

새누리당은 국정원 여직원에 대한 민주당의 인권유린 의혹과 국정원 전·현직 직원에 대한 매관매직 의혹을 집중적으로 파고들 것으로 보인다.

여야는 이날 국정원 기관보고와는 별도로 증인채택 협상을 계속한다.

상황에 따라서는 전날과 마찬가지로 원내대표와 원내수석부대표, 특위 간사 등이 참석하는 ‘3+3 회동’을 다시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여야는 민주당이 요구하는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과 권영세 주중대사의 증인채택 문제를 놓고 첨예하게 맞서고 있어 진통이 예상된다.

여야는 지금까지 협상에서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의 증인채택과 불출석시 동행명령 발부, 국정원 전·현직 직원의 출석과 증언을 보장하는 남재준 국정원장의 허가 등에 상당한 의견접근을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오는 15일까지로 예정된 국정원 국조 기간의 연장 문제에 대해서도 일정 정도의 의견조율이 오간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