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열병식에 300여종 무기 등장…신형무기 없어

北 열병식에 300여종 무기 등장…신형무기 없어

입력 2013-07-27 00:00
업데이트 2013-07-27 15: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복장에 ‘방사능표식’ 부착하고 배낭 멘 부대 등장 정전기념일 열병식 20년 만에 처음

북한이 6·25 정전 60주년인 27일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실시한 열병식(군사퍼레이드)에는 모두 300여 종의 장비가 동원됐으나 신형 무기는 등장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27일 “열병식을 전체적으로 평가하면 신형 무기는 등장하지 않았고 규모도 작년 4월15일 김일성 탄생 100주년을 기념한 열병식의 절반에 그쳤다”고 밝혔다.

올해 열병식에는 병력 1만2천~1만3천여명이 참가했고 장비는 300여 종에 이른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작년 4월 열병식 때는 병력 1만5천여명과 장비 800여대가 동원됐다.

이번 행사에는 복장에 ‘방사능표식’을 하고 배낭을 멘 부대가 등장했다.

소식통은 “이 부대는 작년 4월에도 같은 복장으로 나왔으나 방사능표식을 하고 배낭을 메고 나온 것이 특징”이라며 “북한이 소형 핵무기를 개발했다는 증거는 없지만, 자기들 나름대로 휴대용 핵무기도 개발했다는 것을 과시하려 한 행동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 작년 4월 열병식 때 동체에 얼룩무늬 색상을 입혀 공개한 KN-08 장거리 탄도미사일에 회색 페인트를 칠한 모습도 보였다.

소식통은 “작년 얼룩무늬 KN-08에 대해 모조품 논란이 있었다”면서 “이번에는 그런 논란을 없애고 다른 미사일과 같이 보이려고 회색을 칠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열병식에는 MI-26, H-500(500MD) 등 30여대의 헬기와 KN-05(S-300)·KN-06 지대공미사일, SA-2·3 미사일 등도 동원됐다.

북한이 7·27 정전기념일에 열병식을 한 것은 1993년 이후 20년 만에 처음이다.

소식통은 “김정은 정권의 안정성과 내부 체제결속력을 대내외에 과시하기 위해 정전기념일에 열병식을 한 것 같다”면서 “김일성, 김정일 동상이 등장하고 6·25전쟁 당시 군복 차림, 외국기자 초청 등도 이런 의도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고 평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