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 “직업으로서의 정치 은퇴”

유시민 “직업으로서의 정치 은퇴”

입력 2013-02-20 00:00
업데이트 2013-02-20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당분간 집필에 전념할 듯

유시민 전 통합진보당 공동대표
유시민 전 통합진보당 공동대표
“너무 늦어버리기 전에 내가 원하는 삶을 찾고 싶습니다.”

진보정의당 소속 유시민 전 의원이 정치인으로 살아온 10년을 마감하고 19일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기자회견을 갖거나 보도자료를 내는 대신 자신의 트위터에 “‘직업으로서의 정치’를 떠난다. 열에 하나도 보답하지 못하고 떠나는 저를 용서해 주십시오”라는 글을 남기고 조용히 퇴장했다. 유 전 의원은 통합진보당이 분당 사태를 겪으면서 자신의 정치적 진로를 심각하게 고민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유 전 의원의 한 측근은 “상당히 오랜 기간 (정계 은퇴를) 고민해 온 것으로 알고 있다”며 “정치인으로서 본인의 도전이 다 실패한 데다 정권 교체도 이뤄지지 않은 현실에서 이런 선택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유 전 의원은 1988년 이해찬 전 민주통합당 대표의 보좌관으로 정치에 입문해 16·17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정치적 경호실장’으로 불리며 참여정부에서 보건복지부 장관을 맡았었다. 하지만 노 전 대통령 사후에는 실패의 연속이었다. 2008년 민주당을 탈당하고 같은 해 4월 총선에서 무소속으로 대구에 출마했지만 낙선했고, 2010년 국민참여당을 창당한 뒤 경기도지사 선거에 야권 단일후보로 나섰지만 고배를 마셨다.

2011년에는 참여당 일부를 이끌고 통합진보당에 합류했다. 하지만 통합진보당은 최악의 폭력 사태를 거치며 쪼개졌고, 반대파는 그를 ‘분열주의자’로 몰았다. 가는 곳마다 당이 깨져 ‘정당 브레이커(Breaker)’라는 말이 늘 꼬리표처럼 붙어 다녔다.

여행 중인 유 전 의원은 돌아오는 대로 당분간 집필에 전념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진보정의당 당적은 유지하지만 출마는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3-02-20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