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end inside] 서울지역 첫 다매체 동시 여론조사 해보니…

[Weekend inside] 서울지역 첫 다매체 동시 여론조사 해보니…

입력 2011-09-24 00:00
업데이트 2011-09-24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매체별 7.4~18.8%P 격차… 조사방식따라 지지율 춤췄다

여론조사의 계절이다. 당장 한달 앞으로 다가온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는 물론 내년 4·11 19대 국회의원 선거와 12·19 18대 대통령 선거까지 초대형 선거가 줄을 서면서 거의 매일같이 여론조사가 쏟아지고 있다. 그러나 여론조사 결과들을 꼼꼼히 하나하나 들여다보면 당혹감을 갖게 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전체적인 흐름에서는 대체로 비슷한 경향을 보이지만 여론조사별로 후보 간 지지율 격차에 큰 간극을 보이거나 심지어 후보 순위가 뒤바뀐 경우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왜 이 같은 차이가 나타날까. 700~1000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하는 여론조사의 태생적 한계 때문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여론조사 방식의 차이가 이 같은 간극을 만들어 낸다. 전화번호부에 등재된 집전화번호만을 찾아 묻는 여론조사와 휴대전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는 우선 표본 응답자의 성향에서부터 큰 차이가 나고, 따라서 여론조사 결과에도 적지 않은 차이를 낳게 된다.

이미지 확대


여의도리서치 등 12개 정치전문 여론조사기관들로 이뤄진 한국정치조사협회가 23일 창립총회와 함께 발표한 서울시장 후보 지지도 조사는 이 같은 여론조사 방식의 차이가 만들어내는 편차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협회는 지난 20일부터 22일까지 5개 방식에 의한 여론조사를 동시에 실시했다. 표본은 1개 조사당 500~1000명씩 모두 3700명으로 이뤄졌다. .

조사 결과 표본 500명을 대상으로 한 휴대전화 면접조사에서 박원순 전 희망제작소 상임이사(51.5%)와 나경원 한나라당 최고위원(33.1%)의 지지율 격차는 18.8% 포인트였다. 반면 700명 표본의 유선전화 면접조사에서는 박 전 상임이사(42.6%)와 나 최고위원(35.2%)의 격차가 7.4% 포인트에 불과했다. 두 여론조사의 후보 간 격차 차이가 11.4% 포인트나 되는 것이다.

각 후보의 지지율도 조사 방식에 따라 들쭉날쭉이다. 나 최고위원의 경우 온라인조사에서는 29.6%의 지지율을 기록한 반면 표본 1000명의 유선전화 자동응답(IVR) 조사에서는 36.6%를 얻어 7.0% 포인트의 지지율 차를 보였다. 박 전 상임이사의 경우에는 격차가 더 벌어진다. 유선전화 면접조사에서는 42.6%를 얻었으나 휴대전화 자동응답 조사에서는 51.5%를 얻어 그 차이가 8.9% 포인트나 됐다.

한국정치조사협회 협회장인 임상렬 리서치플러스 대표는 “휴대전화는 20~30대, 유선전화는 중장년층이 많이 응답하기 때문에 휴대전화 조사는 야권후보, 유선전화 조사는 여권후보에 유리한 경향이 이번 조사 결과에도 나타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안충섭 여의도리서치 대표는 “같은 연령대라 해도 휴대전화 여론조사의 경우 응답자가 활동성이 강해 진보적 성향을 띠는 경우가 많은 반면 전화번호부에 등재된 집전화를 상대로 조사할 경우 응답자 대부분이 안정적 생활을 바탕으로 보수적 성향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면서 “여론조사 방식에 따라 표본의 성향이 원천적으로 갈리게 되는 만큼 집전화와 휴대전화, 면접조사 방식과 자동응답 방식을 적절히 섞어야 조사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재연기자 oscal@seoul.co.kr

2011-09-24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