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저축, 신안 땅값 10배 부풀려 매입”

“부산저축, 신안 땅값 10배 부풀려 매입”

입력 2011-07-20 00:00
업데이트 2011-07-20 08: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저축銀국조 고승덕 “공시지가 300억 토지, 3천억에 사들여”

부산저축은행그룹이 전남 신안군 복합리조트 개발사업을 위해 토지를 사들이면서 공시지가의 10배에 이르는 ‘뻥튀기’ 대금을 지급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회 저축은행국정조사특위 소속 한나라당 고승덕 의원이 20일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부산저축은행이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 6개사는 2005∼2009년 신안군 일대 사업 예정지를 점진적으로 사들였다.

이들 SPC는 1천205억원을 들여 2천96필지를 사들였다. 임야를 비롯해 평소 잘 거래되지 않는 토지로, 전체 공시지가는 지난해 기준 213억원에 불과했다.

SPC 대광은 공시지가 34억원인 329필지를 372억원에, 또 다른 SPC인 지도개발공사는 14억원짜리 131필지를 131억원에 각각 매입했다.

고 의원은 “2005년 이후 매입시점을 기준으로 보면 공시지가 대비 10배 가량 높은 가격을 지급한 ‘땅 사주기 프로젝트’”라며 “당시 정권 실세들과 부산저축은행 대주주들이 차명으로 토지를 사들인 뒤 거액의 시세차익을 봤을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신안리조트 부지 지번 전체를 홈페이지에 공개, 차명으로 토지를 매입한 투기세력의 전모를 밝힐 제보를 기다린다”고 말했다.

고 의원은 또 금융감독원 자료를 인용, 부산저축은행이 SPC 6곳에 대출한 금액이 작년 9월 기준 2천298억원으로, 토지매입 비용(1천205억원)을 제외한 나머지 약 1천100억원을 대출이자와 투자자문수수료 등으로 사용한 점에 주목했다.

그는 “부산저축은행은 ‘턴키’라는 신종 대출법을 사용했는데 대출이자 300억원, 투자자문수수료 300억원, 개발계획 수수료 100억원 등이 부산저축은행으로 다시 유입됐다”며 “이런 변칙으로 신안프로젝트를 고수익 사업으로 위장했다”고 주장했다.

이밖에 200억원 가량은 자금의 용처가 불분명하다고 고 의원은 전했다.

그는 “부산저축은행은 인천 효성지구 사업에서도 높은 배수로 토지를 사들였고, 캄보디아 사업에도 3천억원어치 땅만 매입하고 흐지부지됐다”고 말했다.

캄보디아 사업에선 매입 토지의 감정가가 3천600억원에 이르지만, 그 자체가 10배 이상 부풀려졌다는 것이다.

국조특위의 한나라당 신지호 의원도 “부산저축은행은 2005년부터 신안군 개발사업을 위해 8개 SPC를 설립해 3천300억원을 대출했지만, 장부상 토지매입 대금 1천300억원과 대출 원리금 상환금 800억원을 제외한 1천200억원은 행방이 묘연하다”고 주장했다.

이들 SPC의 경영진이 상당수 부산저축은행 대주주와 연관돼 있다는 점에서 부산저축은행이 1천200억원 가운데 상당액을 비자금을 빼돌려 정관계 로비자금으로 사용했을 수 있다고 신 의원은 보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