親朴 ‘유시민 국가론’ 쏠린 눈

親朴 ‘유시민 국가론’ 쏠린 눈

입력 2011-04-20 00:00
업데이트 2011-04-20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회에는 작은 서점이 있다. 국회도서관에서 책을 빌려 보는 이들이 많아 이 서점이 하루에 파는 책은 모두 합쳐도 50권 남짓이다. 서점 주인은 19일 “유시민씨의 새 책 10권을 어제 처음 갖다 놓았는데, 하루에 다 팔렸다.”고 했다.

국민참여당 유시민 대표의 새 책 ‘국가란 무엇인가’가 여의도 정가에서 베스트 셀러가 될 조짐이다. 특히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대권을 위해 뛰고 있는 친박계 의원 및 보좌진의 관심이 높다. 유 대표가 책에서 박 전 대표의 트레이드 마크인 ‘국가’와 ‘애국’을 강조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박 전 대표가 ‘복지’를 화두로 들고 나왔을 때 야권이 비상한 관심을 보인 것과 유사한 상황이다.

유 대표의 책은 국가주의 국가론, 자유주의 국가론, 마르크스주의 국가론 등을 소개한 개론서 성격이 짙다. 그러나 유 대표는 책에서 “자유주의자와 진보주의자들이 애국심을 거론하지 않는 이유는 이해할 만하지만, 이런 태도가 국가주의자와 보수주의자들로 하여금 다수 국민이 고귀한 감정이라고 생각하는 애국심의 사용권을 독점하도록 허용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분석하는 등 자신의 견해를 적극 밝혔다.

친박계의 한 의원은 “유 대표가 자신의 정치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책을 쓴 것 같다. ‘제3의 길’을 주장하며 중도에게 다가선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와 비슷하다.”면서 “하지만 애국은 말이나 글이 아닌 행동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박 전 대표의 ‘경제 가정교사’로 불리는 이한구 의원은 “그동안 진보진영은 국민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는 국가의 역할과 대한민국 건국의 역사를 간과한 측면이 있다.”면서 “유 대표가 국가에 관심을 둔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특히 “박 전 대표가 생각하는 국가의 역할은 신자유주의적 시장경제에 따른 양극화를 극복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서 “토목경제를 강조한 지금 정부와도 차이가 난다.”고 덧붙였다.

이창구기자 window2@seoul.co.kr
2011-04-20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