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장엽과 반기문의 ‘인연’

황장엽과 반기문의 ‘인연’

입력 2010-10-11 00:00
업데이트 2010-10-11 07: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일 사망한 황장엽 전 북한 노동당 비서와 외교부 인사들과의 ‘숨은 인연’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1997년 2월12일 주중 한국대사관에 망명을 요청해오자 당시 김영삼 정부는 황 전 비서를 무사히 한국으로 데려오는데 외교력을 총동원했다.

황 전 비서의 망명사건 때 중국과 외교협상에 나섰던 정부 인사 증에는 나중에 ‘최장수’ 주중대사를 지내게 되는 김하중 전 통일부 장관이 포함돼있다.

김 전 장관은 유종하 당시 외무장관의 특보로 일하다 망명사건이 불거진 뒤 이틀째인 1997년 2월13일 중국 베이징(北京)에 파견됐다.

그는 서울대 중문과 출신으로 중국어에 능통하고, 1992년 8월 한.중수교당시 주중공사로 막후교섭에 참여했던 손꼽히는 중국통이었다.

당시 북한은 요원들을 동원해 황 전 비서가 머물던 주중한국총영사관에 진입시키려는 시도를 벌였고, 중국측에 황 전비서를 돌려보내라고 항의하면서 남북간 대중국 외교전이 치열하게 펼쳐졌다.

김 전 장관은 베이징에 도착했지만 중국측은 망명사건을 발표한 한국 정부의 처사 등에 불쾌했던지 김 전 장관을 도착 당일에는 만나주지 않는 등 애를 태우게 했다는 후문이다.

게다가 같은 달 20일 사망한 중국 최고지도자 덩샤오핑(鄧小平)의 장례식 기간까지 겹쳐 일주일 가량 교섭이 중단돼 김 전 장관은 일시 귀국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한달 넘게 진행된 중국과의 수십차례 물밑협상에서 “황 전 비서의 뜻을 존중하고 국제법과 국제관례에 따라 처리해달라”고 끈질기게 요구한 끝에 중국의 협조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당시 김 전 장관이 베이징에서 ‘중국 옷을 입고 다녔다’는 말까지 돌 정도로 철저한 ‘비밀행보’를 한 것은 유명한 일화로 남아있다.

결국 중국도 협상 초기 ‘남북한간 직접 해결하라’는 입장에서 국제관례에 따라 처리하기로 결정했고 결국 황 전 비서는 그해 3월18일 베이징에서 필리핀으로 떠날 수 있었다.

필리핀을 ‘경유지’로 한 것은 ‘혈맹’인 북한을 지나치게 자극하지 않으려는 중국과 이를 감안한 한국측이 선택한 절충안이었다는게 당시 외교가의 반응이었다.

반기문 유엔사무총장도 황 전 비서의 망명과 인연이 깊다.

반 사무총장은 당시 청와대외교안보수석으로 황 전 비서가 무사히 한국에 도착할 때까지 정부내 필요한 조율작업을 총괄했다는게 당시를 잘 아는 소식통들의 11일 전언이다.

그는 특히 그해 3월30일부터 2박3일간 김영삼 대통령의 친서를 들고 극비리에 필리핀을 방문, 피델 라모스 대통령을 예방하고 황 전 비서의 필리핀 체류기간을 연장해 줄 것을 요청했다.

또 황 전 비서가 한달 넘는 필린핀 체류를 마치고 그해 4월20일 서울에 도착했을 때는 안도하면서 김 대통령에게 전화로 도착상황을 수시로 보고하는 역할도 맡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