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장엽 사망] 정부 당국자 “심장마비 추정… 남북관계 영향 없을 듯”

[황장엽 사망] 정부 당국자 “심장마비 추정… 남북관계 영향 없을 듯”

입력 2010-10-11 00:00
업데이트 2010-10-11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내외 파장은

“황장엽(87)씨 사망이 남북관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지 않는다.”

10일 황장엽 전 조선노동당 비서의 갑작스러운 사망 소식이 전해지자 그의 사망이 가져올 대내외적 파장에 대해 정부 당국자는 이렇게 강조했다. 자연사로 밝혀졌기 때문에 안도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그러나 황 전 비서는 김영삼 정부 말기인 1997년 2월 망명했을 때부터 이날 사망하기까지 한국의 정권 교체에 따라 활동에 부침이 심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정부의 대북 정책이 정권에 따라 바뀌면서 황 전 비서와의 관계도 달라질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10일 오후 황장엽 전 조선노동당 비서의 빈소가 마련된 서울 풍납동 아산병원 장례식장에서 한 여성이 고인을 애도하고 있다.  안주영기자 jya@seoul.co.kr
10일 오후 황장엽 전 조선노동당 비서의 빈소가 마련된 서울 풍납동 아산병원 장례식장에서 한 여성이 고인을 애도하고 있다.
안주영기자 jya@seoul.co.kr
● 정권따라 황씨 활동 부침 심해

서재진 통일연구원장은 “황 전 비서가 김영삼 정부 마지막 해에 망명, 바로 김대중 정권이 들어섰다.”며 “김대중 정부부터 노무현 정부까지 황 전 비서의 대외 활동이 금지되는 등 그의 모습을 거의 볼 수 없었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물론 경찰까지 그의 신변 보호를 이유로 활동을 제약하는 일이 많았다는 것이다. 그는 “이명박 정부 들어 분위기가 바뀌면서 황 전 비서가 강연을 하고 전문가들을 모아 특강을 하는 등 예전에 비해 활동 범위를 조금씩 넓혀 갔다.”고 덧붙였다.

반면 노무현 정부 때 통일부 차관을 지낸 이봉조 전 차관은 “황 전 비서와 정권과의 관계는 관점의 차이”라며 선을 그었다. 그는 “노무현 정부 때인 지난 2003년 황 전 비서가 미국의 북한인권운동가인 수잔 솔티 여사의 초청으로 방미, 미 하원을 대상으로 강연을 한 적도 있다.”며 당시 황 전 비서의 방미에 관여했던 경험담을 털어놨다.

이미지 확대
① 황장엽(왼쪽) 전 조선노동당 비서가 1997년 4월20일 측근인 김덕홍 전 조선여광무역연합총회사 사장과 함께 서울공항에 입국해 만세삼창을 하고 있다. ② 황장엽(오른쪽) 전 비서가 2006년 3월26일 서울 교육문화회관에서 공연된 뮤지컬 ‘요덕 스토리’를 관람한 뒤 탈북자 출신 정성산 감독과 악수하고 있다. ③ 황장엽(오른쪽) 전 비서가 2007년 1월8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민주동지회 신년하례식에 김영삼 전 대통령과 함께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④ 황장엽 전 비서가 지난 3월31일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초청으로 미국을 방문해 특별강연을 하고 있다.
① 황장엽(왼쪽) 전 조선노동당 비서가 1997년 4월20일 측근인 김덕홍 전 조선여광무역연합총회사 사장과 함께 서울공항에 입국해 만세삼창을 하고 있다. ② 황장엽(오른쪽) 전 비서가 2006년 3월26일 서울 교육문화회관에서 공연된 뮤지컬 ‘요덕 스토리’를 관람한 뒤 탈북자 출신 정성산 감독과 악수하고 있다. ③ 황장엽(오른쪽) 전 비서가 2007년 1월8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민주동지회 신년하례식에 김영삼 전 대통령과 함께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④ 황장엽 전 비서가 지난 3월31일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초청으로 미국을 방문해 특별강연을 하고 있다.
●방미때 양국 경호에 가장 신경

이 전 차관은 “당시 황 전 비서를 미국에 보내는 과정에서 한·미 양국이 가장 신경을 썼던 것은 그의 안전 문제였다.”며 “문제가 생길 경우 어느 쪽이 책임을 져야 할지, 경호는 어디서 해야 할지 등이 논란이 됐지만 이를 잘 조율해 황 전 비서의 대외 활동을 도왔다.”고 밝혔다.

황 전 비서의 대외 활동이 정권의 영향으로 줄어든 것이 아니라 암살 위협 등이 계속되면서 경호에 더 신경을 쓸 수밖에 없었다는 얘기다. 황 전 비서에 대한 경호는 일반적으로 탈북·망명 후 1년이 지나면 국정원에서 경찰로 이관되는 일반 탈북자와 달리 국정원에서 계속 관리하다가 6~7년 전쯤 경찰 전담팀으로 이관된 것으로 알려졌다.

● “세습소식에 마음 좋지 않았을 것”

이 전 차관은 “황 전 비서가 망명한 지 오래되면서 더 이상 나올 얘기가 없어졌다는 평가도 있었지만 그의 판단이나 분석은 영향력이 컸기 때문에 어느 정권이든지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황 전 비서와 정권과의 관계에 대한 평가는 엇갈렸지만 대북 전문가들은 “최근 건강이 좋지 않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안타깝다.”며 입을 모아 안타까워했다. 한 전문가는 “연세가 많아 귀가 잘 들리지 않았다는 애기를 들었다.”며 “북한의 독재정권을 바꾸고자 했는데 김정은이 세습한다는 소식에 더욱 마음이 좋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2010-10-11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