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인식 성숙해져야”

李대통령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인식 성숙해져야”

입력 2010-07-26 00:00
업데이트 2010-07-26 09: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명박 대통령은 26일 한국 남성의 베트남 신부 살해 사건과 관련,“우리 모두의 마음을 아프게 하고 신부의 고국 국민들에게 아픈 상처를 주는 일은 다시는 없어야 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KBS1라디오와 교통방송,동영상 사이트인 유튜브를 통해 방송된 제44차 라디오·인터넷 연설에서 “슬프고 안타깝기 그지없다.고인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들에게 깊은 위로를 드린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결혼 이주 여성과 다문화가족은 장기적으로 우리 문화를 다채롭게 하고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바탕”이라며 “아버지 나라와 어머니 나라 말을 모두 유창하게 구사하고 양국 문화의 감수성을 고루 갖춘 한국인은 유능한 글로벌 인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우리 모두가 바깥에서 들어온 문화와 사람을 잘 받아들이는 넓은 마음을 가져야 한다”면서 “국가정책도 개방성을 추구하면서 세계를 향해 열린 정책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또 “다문화 가족은 이제 우리 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가족형태로 자리잡았다”며 “이에 따라 우리 인식도 성숙해져야 하지만 아직까지는 부족한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어 “일부 중개업체들의 그릇된 인식과 관행 역시 바뀌어야 한다”면서 “정부는 이번 기회를 통해 개선 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고 소개했다.

 이밖에 이 대통령은 100여년전 머나먼 멕시코까지 이주해간 ‘애니깽’ 선조들과 1960년대 빈곤을 벗어나고자 독일로 이민갔던 광부와 간호사들이 겪어야 했던 어려움을 거론,“그분들이 흘렸던 눈물은 오늘날 우리 곁의 이주 여성들과 외국인 근로자들이 흘리는 눈물과 같다”고 강조했다.

 또 지난해 10월 캄보디아를 국빈방문했을 때 훈센 총리가 한국으로 결혼이민 간 캄보디아 여성들을 ‘며느리처럼 생각해달라’고 부탁했던 사실을 언급,“과연 한 사람,한 사람이 정말 내 며느리라고 생각하며 세심한 애정을 담았던가,저는 되돌이켜 본다”고 자성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지난 20일 숨진 베트남 여성 탓티황옥 씨의 고향 빈소에 박석환 주베트남 대사를 보내 조의를 표하고 최선을 다해 재발 방지책을 마련하겠다는 뜻을 전달한 바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