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하 기자의 멋진 신세계] 클래식 들으며 근육운동 하면 부상 위험 ‘뚝’

[유용하 기자의 멋진 신세계] 클래식 들으며 근육운동 하면 부상 위험 ‘뚝’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9-08-29 17:20
업데이트 2019-08-30 03: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근육운동을 할 때 클래식이나 규칙적 박자의 음악을 듣는 것이 운동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상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픽사베이 제공
근육운동을 할 때 클래식이나 규칙적 박자의 음악을 듣는 것이 운동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상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픽사베이 제공
한낮 찌는 듯한 무더위도 한 풀 꺾이고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운동하는 사람들이 하나둘 늘고 있다. 야외에서 달리기, 걷기를 하거나 피트니스클럽 같은 실내에서 운동을 할 때 많은 사람들이 음악을 듣는다. 운동을 할 때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을 듣는 것도 좋겠지만 클래식 음악을 듣는 것이 운동 효과를 높이는 데 훨씬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벨기에 겐트대 음악학과 심리음향학연구소, 인터넷·데이터과학실험실(IDLAB), 통계분석학과 공동연구팀은 아령이나 역기를 드는 등 근육운동을 할 때 클래식처럼 규칙적인 박자로 연주되는 음악을 듣는 것이 부상 위험을 줄이고 운동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학술원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원’ 29일자에 실렸다.

연구팀은 6개월에서 2년 정도의 근육운동 경험이 있는 21~42세의 남녀 31명을 세 그룹으로 나눠 실험했다. 한 그룹은 근육운동을 하는 동안 클래식 음악을 듣도록 하고, 다른 그룹은 시끄럽고 불규칙한 박자를 가진 음악을 듣도록 했다. 나머지 그룹은 음악 없이 운동을 하도록 했다. 그 결과 클래식 음악을 들으며 운동한 그룹이 바벨이나 덤벨을 들 때 더 정확한 동작을 취함으로써 부상을 당하는 경우가 적고 운동 효과도 높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반면 시끄럽고 불규칙한 박자의 음악을 들으며 운동한 사람들은 오히려 음악 없이 운동한 그룹보다 근육 부상을 입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규칙적인 박자가 운동 자세를 흐트러뜨리지 않고 정확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도와줌으로써 부상 위험이 줄어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클래식 음악이 아니더라도 사람의 목소리가 들어가지 않은 연주 음악이면서 박자가 명확한 음악은 운동에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edmondy@seoul.co.kr

2019-08-30 3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