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톡톡 다시 읽기] 마르셀 모스는 누구

[고전 톡톡 다시 읽기] 마르셀 모스는 누구

입력 2010-10-11 00:00
업데이트 2010-10-11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온 몸으로 평화실현 외친 거리의 사회주의자

프랑스의 종교사회학자 겸 인류학자 마르셀 모스(맨 위 1872~1950)가 저명한 사회학자 에밀 뒤르켕의 조카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조카인 모스의 공부를 직접 지도했다던 삼촌 뒤르켕. 그 덕분일까? ‘1923~1924년 사회학연보’에 수록되었던 ‘증여론’은 특정 사회에 대한 단순한 경험적 관찰을 뛰어넘어 그 사회를 움직이는 어떤 총체적 관계(혹은 체계)를 밝힌 책으로 높이 평가받는다.

그러나 모스는 뒤르켕의 조카이자 학문적 계승자이기 전에 평생 사회주의 운동에 헌신한 운동가였다. 1914년 우파 광신도에게 암살 당한 장 조레스와 함께 드레퓌스 사건에 적극 개입한 실천적 지식인! 다양한 좌파 언론을 통해 사회주의 사상을 전파한 이론가! 무엇보다 프랑스 협동조합운동에 적극 참여해서 직접 파리에 소비자 협동조합을 창설하고 운영했던 활동가였다.

따라서 모스가 러시아 혁명을 누구보다 앞장서서 환호하고 지지했던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프롤레타리아트 독재’라는 볼셰비키의 테제에 대해서, 또 러시아 자원을 외국 자본에 개방하겠다는 레닌의 ‘신 경제정책’에 대해서는 반대와 불만을 표시했다.

자본주의 사회를 넘어서되, 볼셰비키의 방법 이외의 대안은 없는가? 폭력과 적대를 넘어서, 또 냉혹한 공리주의를 넘어서 상호 호혜적인 새로운 사회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증여론’은 그 질문에 대한 모스의 진지한 탐구이자 상상적이며 동시에 실천적인 대안이다.

“교역을 개시하려면 먼저 창을 내려놓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렇게 해서 사람들은 씨족 사이에서뿐만 아니라 부족 간, 민족 간 그리고 개인 간에서도 재화와 사람을 교환하는 데 성공하였다…이렇게 해서 씨족, 부족, 민족은 서로 살육하지 않으면서 대립하고 또 서로 희생시키지 않으면서 주는 법을 배웠다…그것이야말로 그들의 지혜와 유대의 영원한 비밀 가운데 하나이다.”(‘증여론’ 281쪽)

‘증여론’은 모스가 책상 위에서 쓴 글이다. 하지만 동시에 평생을 대안적 사회를 꿈꾸고 실천하면서 거리에서 온몸으로 쓴 책이기도 하다.

서울신문·수유+너머 공동기획
2010-10-11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