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미진진 견문기] 근·현대 사이 회색지대… 색다른 ‘80년대 이전 모습’

[흥미진진 견문기] 근·현대 사이 회색지대… 색다른 ‘80년대 이전 모습’

입력 2019-11-27 17:36
업데이트 2019-11-28 01: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지현 책마루독서교육연구원
이지현 책마루독서교육연구원
서울역광장은 떠나는 사람과 기다리는 사람, 모이는 사람 등으로 북새통이었다. 근현대의 시간 속에 많은 의미를 담은 이곳은 지금 ‘문화역 서울 284’로 사용되고 있다. 1919년 삼일만세를 외쳤던 사람들, 1980년 5월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하던 민주주의의 함성이 메아리치던 곳이다. 서울역 앞 고가를 일종의 스카이워크로 바꾼 ‘서울로7017’을 지나갔다. 1970년대에 만들어진 고가도로를 2017년 17개의 길로 바꾸었는데, 그 높이가 17m라는 의미를 가진 이름이다. 고층 빌딩숲 사이로 254종의 대형 화분들이 놓여 있는 이색적이 공간이 펼쳐졌다. 철로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곳에서 철길들을 바라보며 인천, 부산, 만주 등 일제가 우리나라를 통해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통과지로서의 기반시설로 철로를 냈다는 해설자의 설명에 마음이 씁쓸했다. 철조망에 걸려 있던 수없이 많은 기차 모양 열쇠고리에서는 통일을 염원하며 평화열차가 달리기를 바라는 시민들의 마음을 엿볼 수 있었다.

화려한 빌딩들을 등지고 서계동으로 가는 길, 후미진 골목 안쪽으로 들어가니 간판도 없는 낙후된 건물들이 보였는데 대부분 영세한 봉제공장들이었다. 2000여개나 밀집돼 있다고 했다. 공장 건물이 있던 자리 한가운데로 도로가 나면서 두 동강 난 건물이 신기했다.

가파른 청파언덕 위에서 바라본 서울역 주변은 근대와 현대가 부딪치는 회색지대였다.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따라 오래된 가옥을 사들여 은행나무집이나 감나무집과 같은 이름을 내걸고 마을 공동체 공간을 만들고, 지역 주민들이 자유롭게 들락거리면서 육아와 교육, 취미의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멀리서도 한눈에 보이던 체리 빨강 건물인 국립극단은 넓은 대지에 단층 구조로 된 것이 특이했는데 과거 국군기무사령부 수송대 자리를 활용한 것이라고 했다. 1981년 당시 막사와 사무실, 전기창고, 차고 등으로 쓰여 주변에 높은 건물을 올리지 못하게 했다고 했다. 이 일대가 1980년대 이전의 모습으로 머물러 있는 듯한 느낌이 드는 데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 강렬한 컬러를 입히고 인조잔디를 깔았지만 다소 어둡다는 분위기를 지울 수 없었다.

이지현 책마루독서교육연구원



2019-11-28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